[사설] 낙지머리 논란 복지부가 정리하라
입력 2010-09-17 17:53
수산물 시장에 찬바람이 돌고 있다. 서울시와 식품의약품안전청 사이에 벌어진 낙지 머리의 유해성 논란 때문이다. 여기에다 일부 지역에서 꽃게의 내장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한 카드뮴이 검출됐다는 환경단체의 조사결과가 나와 소비자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논란의 단초는 서울시가 제공했다. 지난 13일 유통 중인 낙지, 문어 등 연체류 14건의 머리와 내장에 대한 중금속 조사 결과 모두 카드뮴이 기준치를 초과했다며 연체류를 요리할 때 먹물과 내장을 제거하라는 지침까지 내놨다. 연포탕 등 해물을 재료로 한 음식은 먹지 말라는 소리와 마찬가지였다. 낙지 주산지와 유통업계가 발칵 뒤집혔음은 물론이다.
그러자 식품관련 주무관청인 식약청이 즉각 반박에 나섰다. 낙지에서 머리 부분은 전체의 10% 이하이므로 전체로 보면 기준치 이하이기 때문에 머리만 따로 떼어 먹지 않는 한 아무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샘플의 숫자 등 서울시의 조사방법에 대해서도 의문을 표시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헷갈린다. 서울시 권고대로라면 연체류의 먹물과 내장 부위는 무조건 먹지 말아야 하고, 식약청 의견대로라면 지금 방식대로 먹어도 상관없다. 전문가들도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대체로 식약청 의견 쪽으로 기우는 모양이다. 서울시도 식약청 발표에 대해 반박자료를 내놓지 않아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먹거리 관련 발표는 신중해야 한다. 시민 건강을 위한다는 충정이야 이해하지만 과학적으로 검증된 내용만 발표해야 신뢰를 얻는다. 과학은 엄정성과 객관성이 생명인 만큼 해석에 따라 결과가 달라져서는 안 된다. 논란이 예상될 경우 관계기관끼리 협의를 가져 최종 검증된 내용만 공개하는 방안도 연구할만 하다.
더 이상 식탁의 불안을 없애기 위해서는 국민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보건복지부가 나서는 것이 좋겠다. 복지부가 연체류에 대한 두 기관의 조사방법을 점검한 뒤 결과를 소상하게 설명하면 국민들이 믿고 따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