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한화 전격 압수수색 왜… 대기업 사정 신호탄?
입력 2010-09-16 21:43
검찰이 비자금 조성 의혹이 불거진 한화그룹을 전격적으로 압수수색하자 대기업 비리를 겨냥한 사정수사의 신호탄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김준규 검찰총장이 올 하반기부터 검찰의 대대적인 사정 수사가 이뤄질 것임을 이미 예고했기 때문이다. 김 총장은 지난달 말 전국 특수부장 회의에서 “국민은 강력한 법 집행을 원한다”며 “검찰권 행사를 자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김 총장 체제가 자리 잡은 이후 검찰의 대기업 비리 수사가 뜸했던 만큼 이제부터 본 게임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16일 “검찰 수사가 본격화된다면 결국 정치인과 고위 공직자의 부정부패, 대기업 비리가 타깃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화그룹 수사가 다른 대기업으로 수사를 확대하기 위한 전초전 성격을 띠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특히 검찰 안팎에선 대검 중앙수사부의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다.
중수부는 한화그룹 사건을 서울서부지검으로 보내기 전에 이미 금융당국으로부터 넘겨받은 관련 자료에 대해 1차 분석작업을 마쳤다.
대검 중수부 예비군으로 편성된 일부 검사를 서부지검에 파견하기도 했다. 검찰총장의 하명사건을 처리하는 중수부가 세간의 이목을 피하면서 한화그룹 사건을 집중 수사하려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대검 중수부가 재계 서열 13위인 한화그룹 수사를 일선 지검으로 내려 보낸 이유가 따로 있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사회·정치적 파급력이 큰 대형 사건에 집중하기 위해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사건은 일선 검찰에 배당하는 식이라는 것이다. 검찰은 지난 정기인사에서 서울중앙지검을 비롯한 동부·남부·북부·서부 지검에 특별수사로 잔뼈가 굵은 검사들을 전진 배치해 중수부의 부담을 덜어냈다. 검찰 관계자는 “임기 하반기를 맞은 검찰총장이 사정수사 의지를 강하게 피력하고 있는 만큼 중수부나 일선 지검의 기업 수사가 강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그룹은 검찰 움직임에 적잖이 당황하고 있다. 한화그룹은 문제가 된 한화증권 차명계좌 5개는 이미 오래전에 폐쇄된 것으로, 금융당국 조사 때도 별다른 지적 없이 해결됐다며 느긋한 입장이었다.
그러나 검찰이 그룹 본사 등을 압수수색하자 사건이 어디로 확산될지 몰라 당황해 하고 있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검찰 수사 대상이 된 차명계좌는 김승연 회장이 금융실명제 이전에 갖고 있던 계좌가 실수로 정리되지 않고 남아있던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현 기자 k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