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안대희 대법관’ 카드 어떻게…‘공정=사정’ 부담, ‘검사출신 총리’ 고심

입력 2010-09-15 03:10

안대희 대법관이 유력한 총리 후보자로 떠오른 것은 ‘공정’과 ‘청렴’이라는 후임 총리 이미지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현재 이명박 대통령은 후임 국무총리 인선을 놓고 막판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아직 ‘OK’ 사인을 내지 않았다는 얘기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14일 “대통령이 아직 결심하지 못한 것으로 안다.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여권 관계자는 “안 대법관은 검찰 출신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평판이 좋은 분”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안 대법관은 지난해 천성관 검찰총장 후보자 낙마 이후 후임 검찰총장으로도 검토된 바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검사 출신이 총리 후보자가 된다는 부담만 없다면, 다른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선뜻 ‘안대희 총리’를 결정하지 못하는 이유도 그런 맥락이다. 검사 출신 총리를 임명할 경우, ‘공정사회=사정’이라는 메시지가 불가피하다.

한때 검토됐던 조무제 전 대법관과 전재희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후보군에서 멀어지는 기류다. 김황식 감사원장과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위 결산심사 답변 과정에서 ‘국무총리 인선에 대한 검증서를 작성한 적이 있느냐’는 질의에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이르면 이번 주 후반 유력 총리 후보자 1명을 선정해 이른바 ‘모의청문회’를 실시할 예정이지만 이 대통령의 결정이 늦어질 경우 다음 주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2, 3명의 총리 후보자를 대상으로 모의청문회를 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전했다.

한편 국회 인사청문회 개선 방안이 여권 내부에서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박지원 비상대책위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13일 (청와대 측에서) ‘잘 검증된 사람을 국회로 보낼 테니 인사청문회를 두 가지로 나누자. 도덕성을 검증하는 것은 비공개로 하고, 자질 검증은 공개로 하자’는 얘기가 나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청와대 누구도 그런 제안을 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청와대 내부에는 “박 대표가 총리 인사나 남북관계 등에 너무 깊이 개입하려는 경향이 있다”며 불쾌해하는 시선도 있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는 “인사청문회 개선 방안 중 하나로 사생활과 관련된 부분은 비공개로 하고, 정책적 부분은 공개하는 방안이 국회에서 논의되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한나라당이 비공식적으로 이런 인사청문회 개선 방안을 민주당에 제안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