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訪中으로 후계체제 인정받은 효과”

입력 2010-09-13 21:46

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은 13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최근 방중과 관련, “(김정은) 후계체제를 (중국으로부터) 인정받는 데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는 평가가 있다”고 밝혔다.

원 원장은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같이 설명한 뒤 “다만 방중에서 쌀 확보 등은 성과가 크지 않았다”고 말했다고 황진하 한나라당 정보위 간사와 정보위원인 박영선 민주당 의원이 전했다.

김정은이 김 위원장 방중 때 동행했느냐는 정보위원들의 질의에 원 원장은 “김 위원장 방중 행선지를 살펴보면 김일성을 승계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그런 것 아닌가”라며 동행 쪽에 무게를 두는 발언을 했다고 박 의원은 전했다.

북한 노동당 대표자회와 관련, 원 원장은 “9월 상순까지 개최 예정이기 때문에 이번 주 내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며 “후계자 노출이 주요한 관건”이라고 말했다. 항간에서 제기하고 있는 김 위원장 건강 악화로 인한 당 대표자회의 지연설에 대해서는 “건강 문제 때문은 아니다”고 단언했으며, 김 위원장의 지방 현지 시찰도 확인된 사항이라고 답변했다.

남북 개성 접촉설에 대해 원 원장은 “그런 것은 원칙적으로 말하지 않는 것”이라며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또 북한 수해 상황에 대해 “7∼9월 개성, 신의주 등에 수해가 있었지만 1995년이나 2007년에 비해 소규모로 판단된다. 세계식량기구는 정수제와 텐트를, 중국은 쌀과 발전 기금을 도와준 것으로 보인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우리 측의 대북 쌀 지원에 대해서는 “전략적인 문제라고 본다”고 말했다.

원 원장은 또 천안함 사태 러시아 보고서에 대해 “러시아가 이렇다 저렇다 얘기하지 않고 갔고, 러시아에 들어가서 정부와 협조해 발표하겠다고 한 게 전부라고 답변했다”고 황 간사는 전했다. 그러나 박 의원은 “러시아 대표단은 일주일 동안 조사했는데 여기서는 이런저런 얘기가 없었고, 다만 (러시아) 내부 보고용이라는 얘기는 원 원장이 했다”고 말했다.

원 원장은 한나라당 의원들이 국정원 불법사찰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해 “그 직원은 청와대에 파견된 국정원 직원으로, 국정원의 월급을 받지만 지휘권은 청와대에 있어 뭐라 말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