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이전’과 달라진 눈높이… 총리 인선 여전히 난항

입력 2010-09-12 18:28

청와대의 국무총리 후보자 인선 작업에 좀처럼 속도가 붙지 않는 것으로 12일 알려졌다. 인선 기준과 ‘모의청문회’ 등 한층 강화된 검증 절차 때문이다. 청와대는 그동안 추석 연휴 이전 총리 후보자를 지명하겠다고 밝혔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일부 후보군에 대해 주변 탐문, 현장 확인 등 인사 검증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그러나 아직 3배수 압축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인사 검증이 워낙 강화돼 (추석 전 발표에) 어려움이 있다. 일단 지켜보자”고 말했다.

총리 후보자를 추석 이전에 지명하기 위해서는 후보군 3배수 내 압축, 비공개 모의청문회 개최 등의 절차를 1주일 내에 진행해야 하는데 이게 쉽지 않다는 것이다. 후보군에 포함된 인사들이 10여명의 인사추천위원들로 구성된 모의청문회에 흔쾌히 나오겠느냐는 부정적 전망도 나온다.

현재 청와대가 후임 총리 후보자로 내세운 제1의 기준은 ‘공정한 사회’ 기준에 맞는 청렴성이다. 여권 내부에서는 이 기준이 제시된 만큼 후임 총리 후보자가 국회 인사 청문회에서 도덕성 및 공정성 시비에 휩싸일 가능성이 없는 인물이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그러나 청렴성 외에도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이해할 수 있고, 일정 정도의 국정운영 능력도 보유해야 한다는 조건까지 붙으면서 후보군 선정에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미 인사 청문회를 통과했던 인사들도 강화된 인선 기준에 따라 다시 한 번 검증하는 작업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현재 총리 후보군에는 ‘공정한 사회’를 기준으로 조무제 전 대법관, 김황식 감사원장, 이명재 전 검찰총장을 비롯한 법조계 인사들이 포함돼 있으며,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과 전재희 전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올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행정력과 국정운영 능력 등을 인정받은 박봉흠 전 기획예산처 장관도 후보군에 포함됐지만 전 정권 출신이라는 점이 부담스럽다는 지적이 나온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