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못잖은 사립대 교수 특채 요지경… 석사 대신 학사 뽑고 1등 탈락
입력 2010-09-12 18:40
특정인을 위한 ‘묻지마’ 특채, 공금 빼먹기. 사립대학에서도 특정 후보를 밀어주기 위해 점수를 조작한 비리가 대거 적발됐다. 교육과학기술부가 12일 공개한 ‘2009년 사립대학 감사백서’에는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감사를 받은 사립대학의 각종 불법과 전횡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A대학은 지난해 스포츠생리학 분야 교수를 채용하면서 후보자의 평가점수를 임의로 조작해 최종 임용 대상자를 선발했다. 특정 후보자에게 평가 점수 범위의 최저점보다 낮은 점수를 줘 2위로 떨어뜨리고 어부지리로 1위가 된 다른 후보자를 교수로 최종 임용했다.
B대학은 2006년 1학기에 외식조리학과 교원을 공개모집하면서 석사학위 이상 지원자 5명 중 4명을 면접도 없이 떨어뜨렸다. 이 대학은 면접을 본 나머지 1명도 불합격처리한 뒤 석사과정을 수료한 학사학위 소지자를 심사 없이 특별 채용했다.
C대학은 2008년 피부미용학과 교원을 선발하면서 기초·전공 심사에서 1, 3, 5위를 한 후보자 대신 2, 4, 6위를 한 후보자를 면접 대상으로 결정했다. D대학은 신규 교수를 채용하면서 당초 교수 충원 계획에 없던 4개 학과 5명을 총장이 추천했다는 이유로 심사도 없이 특별 채용했다.
교비·업무추진비 등 학교 예산을 쌈짓돈처럼 사용한 사례는 비일비재했다. E대학은 교무처장 등 주요 보직자 72명에게 개인차량 유지비를 지급했다. 유류비 명목으로 매월 1인당 1만원권 상품권을 10∼26장씩 나눠줬다. 이렇게 쓰인 학교 예산이 4억2513만원이었다.
F대학 경리과장은 교비를 자신 명의의 양도성예금증서(CD)로 관리하면서 이를 담보로 31억원을 대출받고 갚지 않았다. 대학 직원들이 수험생의 응시료를 개인통장으로 빼돌려 사용한 사례도 수두룩했다.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사립대학 감사에서 각종 비리로 적발된 교직원은 2138명이었다. 이 중 145명이 징계를 받았고 1362명에게 경고, 631명에게 주의 조치가 내려졌다.
교과부는 고발 3건, 시정명령 82건 등 277건을 행정조치했으며 회계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학교재정 406억여원을 회수·변상토록 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