公正 잣대로… 한나라 “공천 개혁”
입력 2010-09-12 21:19
‘공정한 사회’ 열풍의 진앙지였던 정치권은 그 어떤 분야보다도 엄격한 기준이 적용될 수밖에 없다. 첨예한 이해가 걸려 있는 공천과 당원협의회 위원장 선정도 예외는 아니다.
한나라당은 현재 12개 사고 지역 당원협의회 위원장을 공모 중이다. 여당은 이번 당협위원장 선정에서부터 ‘공정한 사회’에 어울리는 엄정한 기준을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당 조직강화특위 관계자는 12일 “그동안의 당협위원장 임명은 계파 안배 차원에서 이뤄졌던 경우가 많았지만 앞으로는 사회가 요구하는 수준에 맞춰 선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1차로 파렴치범과 성범죄자, 불법정치자금 수수 및 뇌물수수 등 4개 항목에 해당되면 벌금형만으로도 배제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지난 9일 청와대가 새롭게 내놓은 인사검증 시스템도 적극 활용키로 했다. 임명직을 대상으로 청와대가 제시한 200개 인사검증 문항을 그대로 적용하긴 힘들지만 그 기준에 못지않게 철저히 검증하겠다는 것이다.
향후 공천 과정에서 현역 의원들을 평가할 수 있는 잣대도 검토되고 있다. 원희룡 사무총장은 “현역의 경우 의정활동 평가표를 만들어 공천에 참고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재공천 여부 판단을 위한 객관적 기준을 만들겠다는 얘기다.
지도부 일각에서는 ‘당권은 당원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취지에서 당원들이 의원들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에 바람직하지 않은 언행을 하거나 국민정서에 어긋나는 의정 활동을 한 경우 등을 모니터링해 공천 자료로 활용하자는 주장이다.
또 취약 지역인 호남몫 비례대표 의원을 선정할 때도 강화된 기준을 적용키로 했다. 원 사무총장은 “호남 지역에서 활동 중인 분에 대해서만 호남 출신으로 배려해 주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지역 중·고교 출신이라는 것만으로는 호남몫 비례대표로 선정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7월 전당대회 직후 구성된 당 공천개혁특위가 상향식 공천이 이뤄져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선거일 최소 3개월 전 공천을 당헌·당규에 명문화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한 것도 이 같은 흐름과 일맥상통한다. 계파 나눠먹기식 공천이나 낙하산 공천을 배제하겠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공정한 사회’를 요구하는 여론의 눈높이에 맞춘 여당의 공천개혁 움직임이 과거처럼 찻잔 속 태풍으로 끝날지, 아니면 정치권 전반에 바람을 일으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승훈 김나래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