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수출 중기 10곳 중 8곳 “거래 일부·전면 중단”
입력 2010-09-12 21:34
이란에 수출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76.4%는 현재 거래를 일부 또는 전면 중단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란과 거래하고 있는 중소기업 89곳을 대상으로 피해 및 대응현황 실태를 조사한 결과 현재 수출을 전면 중단한 업체는 28.1%, 거래를 일부 중단한 업체는 48.3%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거래를 중단한 이유는 ‘대금 미회수 우려’(45.5%), ‘은행 대금결제 중단’(35.1%), ‘바이어가 거래선 변경해 중단’(10.4%) 등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앞으로 이란과 어떤 방식으로 거래를 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제3국 은행을 통해 대금을 결제하거나, 송금식 결제 방식인 전신환(T/T·Telegraphic Transfer) 거래 등을 이용할 계획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현재 이란과 거래를 계속하고 있는 업체 일부가 이용하고 있는 거래 방식이다.
정부가 지난달 26일 발표한 이란 관련 피해 중소기업 지원 방안에 대해서는 ‘실효성 없다’는 의견이 48.4%로 가장 많았다. ‘회사 경영에 도움이 될 것’ 또는 ‘여신 만기 연장이 가능해진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은 각각 22.1%, 15.8%로 나왔다.
정부 대책의 실효성이 없다고 한 이유는 ‘앞으로 거래 가능성 여부가 관건이기 때문’이 56.5%로 가장 많았고 ‘자금 결제가 가능한 창구 확보가 관건이기 때문’이 35.5%로 뒤를 이었다.
중앙회 관계자는 “정부의 지원 방안이 실질적인 도움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며 “정책 자금을 이용할 수 있는 대상 업체를 확대하고, 경영 안정자금을 추가로 확보하는 방법이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정부가 시중 은행 한 곳과 이란 중앙은행의 원화 계좌를 개설해 정상적인 교역 거래를 보호하기로 한 점은 기대된다”며 “확실한 결제 창구가 확보된다면 대금이 회수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에서는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