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신학대 대학평가 반발… “취업률·충원율 중심으로 산정하는 건 무리”
입력 2010-09-12 19:33
광신대와 대신대, 루터대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장학재단이 신학대의 현실을 무시한 채 30개 학자금 대출제한 대학(본보 9월 8일자 1면 참조)에 포함시키면서 부실대학으로 낙인찍혔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들 신학대의 주장은 교과부 평가항목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취업률(20%)과 재학생 충원율(35%)을 산정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는 것. 학부 졸업생의 취업률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기초로 하기 때문에 4대 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전도사의 경우 통계에 잡히지 않는 맹점이 있다. 당연히 취업률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대신대 관계자는 “신학대 특성상 일반대와 달리 지원 학생 자체가 한정돼 있는 게 아니냐”면서 “우리 학교도 전도사로 나간 졸업생까지 포함시키니 취업률이 68.7%였다”고 항변했다. 이 관계자는 “이런 문제 때문에 교단 노회에 가면 전도사들의 4대 보험 가입을 부탁하고 있지만 대형교회가 아닌 이상 혜택을 주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루터대 관계자도 “우리 학교의 재무건전성은 전국 대학 중 45위 수준인데 이런 건 따지지 않고 부실대학 기준을 무조건 재학생 충원율과 취업률로 칼질했다”고 반발했다.
이번 발표에 포함되지 않은 모 신학대 관계자는 “전국신학대학교협의회의 주장처럼 신학대만 묶어 평가하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전 이남에 위치한 신학교는 재정이나 학생 수급에 있어서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신학대도 변명만 할 게 아니라 나름대로 자구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교과부 관계자는 “이번 평가가 학자금 대출에 관한 부분으로 (재정건전성 중) 상환능력을 본 것이지 부실대학을 지정한 건 절대 아니다”라며 “사전에 심의위원회에서 평가 비율을 내놓았기 때문에 신학대만을 위한 별도의 기준을 둘 순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3개 신학대는 2011년 학부 신입생부터 대출제한이 적용되는데 등록금의 70%까지만 대출된다. 단 소득 7분위 이하의 신입생과 현재의 재학생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백상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