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대만 어선도 나포…釣魚島 갈등 중화권 전체로 확산

입력 2010-09-10 21:35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열도) 해역에서 일본의 중국어선 나포로 촉발된 중국과 일본의 갈등이 중화권 전체로 확산되고 있다. 일본이 대만 어선을 추가로 나포해 사태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일본 오가사와라(小笠原)군도에서 북쪽으로 104해리 떨어진 해상에서 8일 오후 3시쯤 대만어선 ‘신더이 186호’가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내에서 허가를 받지 않고 조업하다 일본 해상보안청에 나포됐다. 이어 오후 6시25분쯤 이즈(伊豆) 제도 서북방 45해리 떨어진 곳에서도 같은 혐의로 대만어선 ‘롱펑 106호’가 나포됐다.

‘롱펑 106호’는 대만 외교부와 일본 측의 교섭으로 9일 풀려났으나 ‘신더이 186호’는 현재 억류된 상태에서 석방교섭 중이다. 대만 정부는 구체적인 증거 제시 요구와 함께 가능한 빨리 어선과 선원을 석방하라고 촉구했다.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10일 니와 우이치로(丹羽宇一郞) 중국 주재 일본대사를 외교부로 다시 불러 강력한 항의와 함께 엄정한 교섭을 요구했다. 양 부장은 “일본 측에선 무조건 선장을 포함한 중국 어민과 어선을 석방하라”고 경고했다. 중국은 앞서 7일 쑹타오(宋濤) 외교부 부부장, 8일 후정웨(胡正躍)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가 주중 일본대사를 불러 강력히 항의했다. 같은 사안으로 중국 외교부가 세 차례나 주중 일본대사를 불러 항의한 건 이례적이어서 강한 유감을 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은 앞서 어업지도선을 댜오위다오로 급파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어업지도선은 대부분 군함을 개조한 것으로 일본과의 무력충돌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중화권 전체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중화권 댜오위다오 수호 관련 비정부단체인 ‘바오댜오(保釣:댜오위다오 보존운동)’는 11일 대만 타이베이(臺北)에서 양안 및 홍콩, 마카오 회원들이 참석하는 대대적인 일본 규탄대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들은 이르면 12일 중국과 홍콩, 대만 등에서 직접 배를 타고 댜오위다오에 상륙해 ‘주권선언 시위’도 계획하고 있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 js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