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교육부 장관 “입학사정관제, 특혜시비 없도록 철저 감사”

입력 2010-09-10 18:19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10일 고위직 자녀 특채 논란과 관련해 “입학사정관제를 걱정하는 여러 목소리가 있다”면서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해 수시모집에 앞서 주요 대학의 공정성 확보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어 “(입학사정관제와 관련해) 교수, 입학사정관, 교직원 자녀의 특혜 시비를 차단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만약 특혜 의혹이 제기되면 교과부 차원에서 감사하고 행정 제재도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갖고 “공정한 교육기회를 주는 것이 하반기 교육정책의 목표”라며 “입학사정관제를 개천에서 용 나게 하는 제도로 정착시키겠다”고 말했다. 입학사정관제는 2011학년도 수시모집의 14.6%를 차지하며 주요 대입 전형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이 장관은 또 학자금 대출제한 30개 대학의 명단 공개로 관심이 고조된 대학 구조조정에 대해 “단순히 퇴출로 끝나선 안 되며 지방대와 전문대에서 좋은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면서 “지방대와 전문대 살리기 정책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어 “연내에 사립대 구조조정을 촉진할 관련 법안을 통과시키고 구조조정 시 재학생의 타 대학 편입과 교직원 보상 등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유아교육 대책과 관련,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며 “공정한 교육기회를 보장하는 획기적인 유아교육 대책을 마련해 1주일 안에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고교 내신 문제에 대해서는 “현행 9등급 상대평가제를 어떻게 개선할지 본격적으로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상지대의 정이사 선임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사학이 선진화되는 과정인데 재단들이 사적 이익을 추구하게 해서는 안 된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이 장관은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국·영·수 비중이 심화된다는 지적에 대해 “국·영·수 과목을 무리하게 늘리지 말고 특히 예체능은 줄이지 말라고 컨설팅하고 있으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