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속전기차 ‘블루온’ 본궤도 오르려면
입력 2010-09-10 17:43
한국은 세계 전기자동차 개발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음을 9일 내외에 천명했다. 이날 처음 공개된 ‘블루온(BlueOn)’은 최고 시속 130㎞, 한 번 충전해 140㎞를 달리는 양산형 고속전기차다.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다. 미래 성장동력의 하나가 실체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정부가 지난해 전기차 활성화 계획을 마련하고 올해 민·관에서 220억원을 투자해 1년 만에 부품 국산화율 90%의 블루온을 만들어냈다고 한다. 11개의 핵심 부품을 130여개 중소기업이 협력해 개발했다는 사실도 놀랍다. 상생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구축할 수 있었다니 더 더욱 반가운 소식이다.
블루온이 공개되는 자리에서 정부는 ‘고속전기차 육성 계획’도 발표했다. 2015년까지 국내 소형차의 10%를, 2020년까지는 전 승용차의 20%를 고속전기차로 대체하겠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고속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우선 2012년까지는 주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2013년부터는 민간을 대상으로 한 보조금도 지급된다. 2020년까지 전국에 걸쳐 충전기 220만개가 설치된다. 전기차 보급에 가장 큰 걸림돌이 높은 가격과 충전 인프라 미비임을 감안한 적절한 대응이라 하겠다.
하지만 역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술력이다. 한 번 충전에 400∼500㎞를 달리고, 짧은 시간 안에 충전이 가능한 고성능 전기차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 자동차 업계의 연대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현재 현대차 이외엔 전기차 개발에 그리 적극적이지 않다. GM대우는 GM의 고속전기차 ‘볼트’를 국내에서 양산·판매할 계획이 없고 르노삼성도 전기차 개발에 대해서는 소극적이다.
한국은 자동차산업의 후발 주자로 출발해 단기간에 어렵사리 세계 톱클래스와 어깨를 견줄 수 있는 기술 수준에 이르렀지만 잠깐이라도 방심하면 다시 뒤처질 수밖에 없다. 해외 경쟁 기업들은 한 발 앞서 차세대 고속전기차 개발에 매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은 물론 동종업계 간 연대 및 2차전지산업 등 관련 업계와의 전략적 제휴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