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지주 이사회 어떻게 되나… 표 대결 땐 지주측이 유리
입력 2010-09-09 21:23
결국 이사회로 공이 넘어갔다. 신한금융지주 재일교포 주주들이 9일 신상훈 사장 해임 등의 모든 결정을 이사회에 일임키로 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향후 이사회에서 실력행사를 통한 표 대결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주주들의 결정은 우선 하루빨리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일 고소 사실을 접한 주주들은 격앙된 표정을 숨기지 못했었다. 이사회 저지, 신 사장 해임 반대 결의안 채택, 은행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 청구 등 갖가지 실력행사 방안이 주주들 사이에서 튀어나왔다. 고소 이튿날 이백순 행장이 바로 일본을 찾았지만 문전박대를 당할 정도로 분위기가 좋지 않았다.
그러나 언론을 통해 내분 사태가 대서특필되면서 사태 조기 수습이 필요하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지주는 이르면 내주에라도 이사회를 개최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사회에서 신한지주 측이 끝내 재일교포 사외이사의 동의를 이끌어내지 못하더라도 일단 표 대결에선 우세하다. 전체 12명의 사외이사 중 신 사장과 재일교포 사외이사 4명이 모두 해임 반대에 표를 던진다 해도 나머지가 해임에 찬성하면 해임안은 가결되기 때문이다. 지주 측은 이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일단 국내 사외이사들과도 접촉하며 설득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신한지주로서는 재일교포 사외이사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표 대결로 몰아가기엔 부담이 따른다. 신한지주의 뿌리이자 든든한 버팀목이었던 이들이 지주를 외면할 경우 ‘신한’ 브랜드의 정통성이 끊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사회 전원 찬성’의 모양새를 이끌어내기 위해 이사회 개최 전까지 최대한 설득작업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사회에 신 사장 해임안이 바로 상정될 가능성이 낮은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 것도 이 때문이다. 임시 이사회 형식으로 모여 보충 자료를 통해 추가 설득을 한 뒤 이사진의 동의를 얻어 해임안을 상정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이사회도 즉각적으로 해임안을 의결하는 대신 신 사장의 직무정지 또는 검찰 수사 결과 발표 후 해임안 의결 등의 결정을 내릴 가능성도 높다. 경우에 따라서는 라응찬 회장, 신 사장, 이 행장 3명에 대해 공동책임을 물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일시에 지주 경영진이 물러날 경우 향후 인선과정에 정부 입김을 받을 수도 있어 가능성은 희박한 편이다.
강준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