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채 파문 지자체로 확산… 단체장·산하 공기업 수장, 자녀 채용비리 잇단 제기
입력 2010-09-08 18:47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 딸 특채 비리 파문이 지방자치단체로 확산되고 있다.
8일 전국 각 지자체에 따르면 자치단체장과 지자체 산하 공기업 수장의 특채 비리 의혹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성남문화재단 등 경기도 성남시 산하 출자기관에는 전직 시장과 구청장, 시의원 등의 자녀나 친척 20여명이 근무 중이다. 하남도시개발공사에는 전 시장의 조카가 2003년 계약직으로 입사했다가 1년 후 정규직으로 전환돼 특혜 논란이 일고 있다.
부산 사하구는 지난 6월 구청 간부의 딸 A씨를 계약직 공무원으로 다시 채용해 특혜 시비를 낳고 있다. A씨는 지난해 공채에 지원, 합격했다가 구청 간부의 딸이라는 사실이 알려져 말썽을 빚자 채용 계약을 포기했었다. 동래구에서는 구청 계장급·과장급 자녀 2명과 구의원 자녀 1명이 특채돼 일하고 있다.
인천시는 시 도시개발공사 B본부장 딸이 지난해 인턴으로 채용돼 근무 중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채용 과정에서 특혜가 있었는지 감사를 벌이고 있다. 서울 성동구 도시관리공단은 2006년 6월 말 이호조 당시 구청장의 조카사위인 이모씨를 특채하는 등 이 전 구청장의 친인척 3명을 채용했다. 공단은 이씨를 채용하면서 오후 7시 모집공고를 낸 뒤 당일 밤 서류 합격자를 결정했으며 1년여가 지난 뒤 이씨를 무기계약직(6급)으로 전환했다.
파문이 확산되자 관련자의 사표를 수리하는 등 꼬리 자르기를 하는 경우도 잇따르고 있다.
서울 강북구 도시관리공단 권오도 이사장은 지난 4월 별도의 외부 공모 절차 없이 5촌 조카를 8급 직원으로 특채, 수행비서 겸 관용차 운전을 맡겼다가 특채 비리 논란이 커지자 지난 7일 사직 처리했다.
또 이완구 전 충남지사 측근 C씨는 아들과 함께 특채 의혹을 받은 뒤 최근 사표를 냈다. C씨는 이 전 지사가 국회의원으로 활동할 당시 보좌관을 지낸 인물로, 2007년 2월 도의회에 별정직 4급으로 특채됐다. C씨의 아들은 이듬해 충남도청 별정직 공무원으로 특별 채용돼 지금까지 일하고 있다.
충남도 감사관실 관계자는 “인사비리 척결 차원에서 한 차례 거센 회오리가 불어닥칠 것 같다”며 “정상적인 방법으로 공직에 발을 들여놓지 않고 연줄로 자리를 꿰찬 공직자들은 불안에 떨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정재학, 황일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