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 딸 특혜’ 외교아카데미로 불똥… 새 외교관 선발제 투명성 의문제기

입력 2010-09-07 18:49

유명환 장관 딸 특혜 파문의 불똥이 새 외교관 선발제도인 ‘외교아카데미’로 옮겨 붙고 있다.

7일 열린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회의에서는 이 제도 도입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한나라당 유기준 의원은 “이번 특별채용에서 문제점이 나타났듯이 외교아카데미가 개악으로 가는 것 아니냐”면서 “누가 신뢰하겠느냐”고 투명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나 같은 당 홍정욱 의원은 “해외에서 국익을 대변하기 위해 국제 NGO나 국제기구, 국제협력단 봉사단원으로 헌신한 젊은이들에게 채용의 문이 열린다면 이를 비판할 국민은 없을 것”이라며 도입에 찬성했다.

외교부는 2012년부터 외무고시를 폐지하고 외교아카데미를 통해 매년 50명의 외교관을 선발키로 했다. 외무고시의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순혈주의’를 극복하고, 국제화시대에 걸맞은 다양한 인재를 외교관으로 양성하겠다는 취지였다. 이명박 대통령의 의지가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지난 6월 외교아카데미 관련 공청회를 여는 등 준비를 계속하고 있지만, 아직 국회에 법안을 제출하지는 못한 상태다.

외교아카데미 제도가 도입되면 서류전형, 필기시험(국제법 국제정치학 국제경제학 등)과 두 차례 면접시험을 거쳐 예비외교관 60명이 선발된다. 이들은 1년간 외교아카데미 교육을 거친 뒤 최종적으로 50명이 선발돼 5급 외교관으로 활동하게 된다. 필기시험 위주의 기존 외무고시와 비교해 서류와 면접이 대폭 강화된 셈이다. 하지만 이번 유 장관 딸 사건에서도 드러났듯이 면접관의 주관에 따라 외교관 자녀 등 특정인에게 유리할 개연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