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외통위 ‘유명환 딸 파동’ 십자포화… 신각수 차관 ‘특채’ 주도 의혹
입력 2010-09-07 21:52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서는 7일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의 딸 특채와 관련해 외교부를 상대로 여야 의원들의 추궁과 질타가 쏟아졌다.
◇특채 과정 개입 의혹과 석연찮은 해명=신각수 외교부 제1차관이 한충희 인사기획관을 통해 특채 전형을 주도했다는 의혹이 먼저 도마에 올랐다. 민주당 신낙균 의원이 “유 장관의 최측근인 신 차관이 한 기획관에게 지시를 내리는 등 총지휘했다는 관측이 있다”고 하자, 신 차관은 “전혀 근거가 없다”고 반박했다.
질의 답변 과정에서 한 기획관이 내부 위임 전결 규정에 따라 위원회를 구성했고, 본인 스스로 전결해 심사위원이 된 사실이 확인됐다. 또 심사위원 5명 중 한 기획관 1명만 유 장관 딸이 응시했음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 기획관은 “국민에게 큰 상처를 남긴 일이 벌어진 데 대해 인사실무를 책임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한 기획관은 유 장관 딸의 응시 사실을 “유 장관에게만 보고했다”고 답변했지만 그의 직속상관인 임재홍 기획조정실장이 “한 기획관이 저한테 와서 보고를 했다. (보고한 사실을) 잊어버린 것 같다”고 뒤집어 논란이 일었다. 임 실장은 “맨 처음엔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지만 장관 딸이 3년 동안 외교부에서 근무했기 때문에 원하던 부서에 복귀한다고 생각해서 그냥 넘어갔다”고 설명했다. 신 차관도 “특채의 최종 결재 과정에서 유 장관 딸의 응시사실을 알았다”며 “결재를 거쳐 최종 확정이 됐다”고 말했다.
◇특채 제도 보완 요구=외통위원인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는 “이번 사건은 장관 딸을 위한 맞춤형 특채”라며 “공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국익을 침해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외교부의 특채 제도 대책을 물었다. 이에 신 차관은 “특채 제도가 갖고 있는 공정성에 의구심이 많아 특채 제도를 행정안전부에 이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민주당 김동철 의원은 “현 외교부 최고위직 친구의 딸 박모씨, 전직 대사의 딸 홍모씨, 전직 대사의 아들 김모씨, 전직 대사의 친척 전모씨가 5급 특별채용 계약직으로 외교부에 입사한 다음 2년 뒤 정규직으로 전환됐다”고 추가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신 차관은 “처음 들었다”며 “검토해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보고하겠다”고 말했다. 외교부 측은 4명 중 3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됐다고 밝혔다.
김 의원 또 “이번 사건은 사실상 유 장관 지시에 의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며 “검찰 수사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