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네티즌, 대외정책 결정 영향력”… 인터넷 사용자 4억명 육박 ‘무시’ 못해
입력 2010-09-07 17:59
북한 전투기가 중국에 추락한 지난달 17일, 티쓰망 같은 중국 인터넷 게시판엔 중국 네티즌이 직접 찍은 현장사진과 분석, 의견들이 쏟아졌다.
불안한 북한의 실태와 중국 인민해방군의 늑장 대처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반면 신화통신과 인민일보는 짤막한 단신으로 보도했다. 대부분 포털 사이트는 이 기사를 숨겼다. 중국 정부의 통제가 이뤄진 것이다.
중국 정부가 서둘러 인터넷 여론을 통제한 건 네티즌의 여론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보여주는 방증이었다. 스위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는 6일 ‘중국의 새로운 대외정책 결정 요인’이라는 보고서에서 공산당 관료나 인민해방군 외에 네티즌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인터넷 사용자는 지난해 기준 3억8400만명으로 세계 최대 규모다. 비교적 통제가 느슨한 인터넷에서 활발히 자기주장을 내세운다.
대외정책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회원 200만명을 가진 중국의 대표적 인터넷 토론방인 창궈룬탄(强國論壇)엔 이란대사를 지낸 후아리밍, 가오 유솅 아랍에미리트연합 대사 같은 고위 관료들도 자주 의견을 올린다. 네티즌의 의견은 주로 애국주의나 중화민족주의 관점에서 외국 동향을 분석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를 주장한다.
SIPRI는 이들 의견이 중국의 대외정책엔 ‘양날의 칼’로 작용한다고 분석했다.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중국의 책임을 요구하는 외부의 압력에 맞설 수 있는 근거가 되지만, 세계화 흐름에 동참해야 하는 중국의 앞길에 부담이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 당시 네티즌들은 북한이 새로운 지원을 요청하지 않을까 거부감을 드러냈다.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키우려는 중국 정부의 의도와는 엇갈린 반응이었다.
일본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시도한 2005년엔 중국이 의도적으로 네티즌들의 애국심을 자극해 반대 여론을 확산시켰다.
SIPRI는 중국 정부가 인터넷 여론 조작을 위해 댓글을 한번 쓸 때마다 5마오(1위안의 절반)를 지급하는 ‘우마오당’을 운영한다는 설도 있다고 전했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