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총리 ‘청렴’이 최우선… 법조계 인사 급부상
입력 2010-09-06 22:14
공석인 차기 국무총리 후보에 법조계 인물들이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6일 알려졌다. 여권 관계자는 “김태호 전 총리 후보자나 신재민 이재훈 전 장관 후보자,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 모두 도덕성과 관련된 사유로 낙마했기 때문에 차기 총리는 청렴성을 중심으로 볼 수밖에 없다는 분위기가 강하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현재 법조계 인사 가운데 도덕성을 겸비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후보를 물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법조계 인사는 이명박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 국정운영 기조로 내세운 ‘공정한 사회’와도 부합할 수 있다. ‘딸깍발이 판사’로 불렸던 조무제 전 대법관, 김황식 감사원장 등이 물망에 올라 있다.
조 전 대법관은 1998년 대법관 임명 당시 7200여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화제를 모았고, 대법관 퇴임 후 수십억원이 보장된 변호사 개업을 포기하고 모교인 동아대 석좌교수로 부임했다. 한 법조계 인사는 “법조계 내부에서도 존경받는 인물”이라고 평했다.
김 감사원장도 공정한 사회라는 콘셉트에 부합하는 인물이다. 특히 전남 장성 출신으로 호남 배려라는 이점도 있다. 이미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했기 때문에 새로운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도 낮은 편이다. 재산은 최근 10억8952만원을 신고했다.
그러나 법조계 출신을 행정부의 얼굴인 국무총리로 지명할 경우 검사 출신인 박희태 국회의장, 이용훈 대법원장까지 3부 수장이 모두 법조인이 된다는 부담이 있다. 이 때문에 인사청문회를 한번 통과했다는 장점을 가진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제형 총리’, 전재희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여성 복지 총리’라는 콘셉트로 여전히 후보군에 올라 있다고 한다.
청와대는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리 인선을 추석연휴(9월 21∼23일) 이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총리 인사청문회와 국회 임명동의안 처리 등 과정을 고려하면 최소한 한 달이 필요하다. 추석 이전에 후보자 인선을 마무리하더라도 후임 장관까지 임명하려면 10월 말은 돼야 한다는 결론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최근 기자들과 만나 “추석 전에는 되지 않겠느냐”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김태호 후보자 낙마 등으로 인해 강화된 인사검증 기준이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인선 작업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한다는 후문이다. 청와대의 다른 고위 관계자는 “이번 인사 검증은 정말 엄격하게 들여다보고 있다. 빨리 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