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보다 빠른 ‘가계 빚’ 증가
입력 2010-09-06 18:36
우리 국민의 빚이 소득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6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현재 가계대출 잔액 711조6000억원은 직전 1년간 총처분가능소득(GNDI) 1117조1000억원의 약 64%를 차지했다. 이는 2003년 상반기 말의 54%와 비교하면 10% 포인트 높다.
GNDI 대비 가계대출 잔액은 상반기 말 기준으로 2004년 55%, 2005년 56%, 2006년 59%, 2007년 60%, 2008년 61%, 2009년 64% 등으로 매년 커졌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대출 금액도 증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국민 전체의 처분가능소득보다 가계 대출금이 불어나는 속도가 더 빠른 것은 걱정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특히 저소득층의 소득 대비 부채 부담이 더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처분가능소득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전국 2인 이상 비농가 가구를 기준으로 2003년 0.277에서 지난해 0.293으로 커졌다. 지니계수가 커졌다는 것은 소득 불평등이 심해졌다는 의미다.
게다가 자산 대비 부채의 배율도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최근 노동패널 조사에 나타난 2008년 기준 부채보유 가구의 소득 분위별 이자부 자산(예금+저축성보험) 대비 이자부 부채(금융회사+비금융회사 부채) 비중은 소득 수준이 낮은 1분위가 6.67배, 2분위가 7.96배였다.
반면 고소득층인 5분위는 이 배율이 3.00배에 그쳤다. 저소득층의 자산 대비 부채 부담이 고소득층의 갑절을 넘은 것이다.
주택이 없는 1∼2분위는 이 배율이 14.45배와 21.61배에 달했다. 소득이 낮으면 대출금리는 높게 매겨질 가능성이 커 이자까지 계산한 부채 부담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서는 최근 총부채상환비율(DTI)이 완화된 상황에서 무주택 서민이 빚을 더 내게 될 경우 부실 위험에 노출될 것으로 우려했다.
고세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