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50일 넘긴 안상수 체제… 민생정치·젊은층과 소통 강화 ‘시동’

입력 2010-09-05 18:39


안상수 대표가 취임 50일이 지나면서 한나라당을 ‘안상수 체제’로 만들기 위한 시동을 걸고 있다. 원활한 당·청관계 수립, 2030세대와의 소통강화, 친서민 정치를 위한 현장찾기 등에 부쩍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지난 7월 14일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뒤 홍준표 최고위원과의 마찰, 당직 인선 과정에서의 혼란 등이 정리가 되면서 제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안 대표는 5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대통령과 당 대표 간 정례회동이 매달 초 열리게 되는데, 7일 첫 회동을 갖는다”며 “인사검증 시스템, 당·정·청 소통 문제에 대해 충분히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안 대표는 차기 총리 및 장관 인선 문제에 대해서도 “당의 의견을 전달하는 것이 당연하다”며 “현안에 관한 모든 문제를 기탄없이 (정례회동에서) 다루겠다”고 했다.

그는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딸 특채 특혜 의혹으로 사의를 표명한 것과 관련, 막후 상황을 소개하며 당·정·청 소통이 원활히 이뤄져왔음을 강조했다. 그는 “3일까지는 (행정안전부의 감사) 결과를 지켜본 뒤 처리하려 했으나 예상보다 여론이 심각하다고 판단해 자진사퇴가 좋겠다는 결론을 내리고 4일 오전 청와대에 뜻을 전했다”며 “유 장관에게도 그 뜻이 전달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동안 김태호 총리 후보자 문제부터 유 장관 문제에 이르기까지 당의 의사가 청와대에 제대로 전달되고, 청와대도 이를 잘 수용했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안 대표는 오는 10일 수도권 대학생들과 첫 만남을 갖고, 젊은층과의 소통을 위한 행보를 시작한다. 안 대표는 또 1주일에 한 차례씩 현장을 찾아 생생한 민심을 듣고 이를 토대로 친서민 정책을 발굴, 개발할 방침이다.

이런 활발한 행보에도 당 안팎에는 ‘안 대표가 당 대표로서의 존재감이 너무 없다’며 리더십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여전히 존재한다. 현안이 터질 때마다 지나치게 청와대를 의식하며 이렇다할 만한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 당직자는 “수평적인 당·청 관계를 이루기가 쉽지 않고, 대중적인 지지도가 약하기 때문에 향후 개헌 등 주요 이슈를 주도하지 못한다면 관리형 대표에 그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안 대표가 이날 정부부처의 세종시 이전으로 경기도 과천시의 행정공백이 요구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연 것을 두고도 “당 대표가 자기 지역구 챙기기에 앞장서는 모습이 보기 좋지 않다”는 얘기도 나왔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