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장·차관 워크숍 “공정사회 지키려면 기득권자 고통받을 것”

입력 2010-09-05 21:59

이명박 대통령은 5일 8·15 경축사에서 제시했던 ‘공정한 사회’와 관련해 “아마도 기득권자에게는 매우 불편하고 고통스러운 일인지 모르며, 또 어쩌면 정부여당이 먼저 많은 고통과 피해를 볼 수 있다”면서 “(그러나) 공직자부터 정치·사회·경제·문화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가 공정사회 기준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3기 내각 장차관급 고위 공직자 100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정한 사회, 더 큰 대한민국 2010’을 주제로 청와대에서 열린 워크숍에서 “공정한 사회는 사회 지도자급, 특히 기득권자들이 지켜야 할 기준”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의 사퇴에 대해서도 “보통 때 같으면 오래된 관습이라며 통과될 수 있는 문제일지도 모른다”며 “그러나 공정사회를 기준으로 보면 용납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유 장관은 딸의 외교부 특채 논란이 불거진 지 이틀 만인 4일 자진사퇴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총리 이하 국무위원 임명 과정에서 공정사회에 맞지 않는 결과가 나왔다”고 지적하고 “책임이 전적으로 대통령에게 있기 때문에 아픔을 무릅쓰고 인사 추천을 취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두 가지 사안(김태호 총리 후보자 등 낙마와 유 장관 사퇴)은 공직사회의 기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과거 정권은 선거자금이 문제가 됐지만 우리 정권은 그로부터 자유로운 유일한 정권이어서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 것은 하나의 소명”이라며 “이번 정권 하에서 대한민국이 공정한 사회를 만든다는 것이 마지막 기회일 수 있고, 매우 좋은 기회일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일 경기도 구리 농수산물시장을 방문했을 때 제일 바닥에 있는 사람이 자기보다 바닥에 있는 사람을 위로해 달라고 하고 자기는 (스스로) 헤쳐 나가겠다고 했다”면서 “지도층에 있는 사람, 힘 있는 사람들이 그분들의 목소리를 들으면 느끼는 바가 클 것”이라고 밝혔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