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육군 전략가, “北 붕괴땐 제2 아프간·이라크 될 수도”

입력 2010-09-03 18:33

북한이 붕괴될 경우 110만명의 정규군과 700만명의 예비군, 노동당 정예 요원 등이 폭력적 저항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특수부대의 자살 공격 등으로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의 비정규전 같은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왔다.

미 육군 특수작전사령부(USASOC) 전략팀장인 데이비드 맥스웰 대령은 1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콴티코 해병대대학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북한 붕괴 시 계획’ 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맥스웰 대령은 한미연합사에 근무하면서 북한 급변사태 대비 계획인 ‘개념계획 5029’와 전면전에 대비한 ‘작전계획 5027’ 입안에 참여했었고, 주한미군 특수전사령부의 정책·전략팀장으로도 근무했다.

그는 “김정일 체제가 무너질 경우 북한 주민들은 국제적 동맹군이나 미군은 물론 한국군까지 포함해 외부로부터 진주하는 어떤 세력도 해방군이 아니라 점령군으로 인식해 환영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북한에서 폭력적인 극단주의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정규군 110만명, 예비군 700만명, 노동당 정예 요원 그리고 일부 주민들을 중심으로 저항에 나설 가능성이 높고, 과거 회귀적인 주민 폭동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봤다. 특히 전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잘 훈련된 18만여명의 특수부대원들이 ‘점령군’을 향해 자살공격을 감행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북한이 이미 위조지폐 제조나 담배 밀거래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놓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게릴라전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의 내부 폭동이나 게릴라전은 아프간이나 이라크보다 훨씬 높은 전투력을 가진 세련된 형태로 이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비정규전과 재래식 정규전 전력을 혼합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맥스웰 대령은 그들이 폭력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배경은 바로 종교적 차원으로까지 받아들여지는 주체사상이라고 설명했다.

북한 붕괴 시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북한 군부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비정부기구(NGO)들을 통해 북한 주민들에게 외부 세계 정보를 더 많이 제공, 주체사상의 허구성을 깨닫게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