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방 개혁 목표는 전력 증강이어야
입력 2010-09-03 17:52
어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에선 국방 선진화를 위한 여러 개혁 과제들이 논의됐다. 북의 천안함 도발을 계기로 지난 5월 발족한 점검회의가 4개월 가까이 연구한 결과물을 대통령에게 보고하는 자리였다. 이 과제들은 국방선진화추진위원회가 다시 한번 검토해 연말쯤 확정하게 된다.
국방 선진화의 목표는 당연히 북의 도발 의지를 꺾을 수 있을 정도로 군 전력을 대폭 증강하는 데 둬야 한다. 천안함 사태 때 드러났듯 우리 군은 여러 측면에서 취약점을 안고 있다. 북의 각종 도발 위협에 대한 준비태세가 미흡하고, 군 상부 지휘체계가 비효율적이며, 장병들의 군복무 자긍심이 현저히 저하돼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군의 전면적 혁신이 필요한 이유다.
점검회의는 2014년까지 18개월로 단축키로 한 군 복무기간(육군 기준)을 24개월로 환원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미래의 안보 환경에 대비한 적정 수준의 군 병력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노무현 정부가 군 병력을 50만명 수준으로 감축키로 한 계획은 북의 도발을 막는데 커다란 걸림돌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이 “24개월 환원은 쉽지 않은 문제”라며 신중한 검토를 지시했지만 북의 위협을 제거하는데 꼭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적정한 선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군 상부 지휘체계 문제와 관련해서는 합동군사령부를 신설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합동군사령부 창설이 모색되는 이유는 대통령-국방장관-합참의장-각 군 작전사령관 체제로 돼 있는 현재의 군령 시스템에 허점이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합동군사령관과 합참의장 및 각 군 참모총장의 관계가 여전히 미묘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점검회의가 자군(自軍) 중심주의에 따른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합동성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 국방 문민화를 추진키로 한 것은 시의 적절하다. 북의 대규모 사이버 테러에 대비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는데 이는 곧바로 시행에 들어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