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경 자연환경국민신탁 대표 “제주 곶자왈 탄소발자국 지우기 적극 동참을”
입력 2010-09-01 18:50
“제주 곶자왈은 미래세대로부터 신탁 받은 재산입니다. 모든 국민이 함께 지켜내야 합니다.”
‘곶자왈 탄소발자국 지우기’ 캠페인 차 제주에 온 자연환경국민신탁 전재경(55) 대표는 1일 “곶자왈 보전에는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다”며 “제주도민만으로는 힘에 부치는 만큼 온 국민의 참여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곶자왈은 나무·덩굴식물·암석 등이 뒤섞여 수풀처럼 된 제주도의 독특한 숲을 일컫는 제주 방언이다.
곶자왈 탄소발자국 지우기 캠페인은 제주에 온 관광객에게 자신들이 타고 온 항공기, 렌터카 등으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1%가량에 대해 곶자왈을 사거나 숲을 가꾸는 데 쓰도록 유도하자는 운동이다. 올레꾼들이 ‘올레숲’을 만드는 등 개인과 기업, 단체 등의 이름을 붙인 숲을 조성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곶자왈 한 평 사기’에 동참토록 하자는 취지다.
전 대표는 곶자왈의 앞날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현재의 곶자왈을 난개발에 맡겨두지 말고 보전해 물려줌으로써 미래세대가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대표는 제주 곶자왈과 인연이 깊다. 2007년 3월 자연환경국민신탁 출범 전부터 가장 먼저 곶자왈을 시범사업지로 선정했고, 이후 100번 이상 제주를 방문했다.
제주도는 2007년부터 곶자왈 공유화 재단을 통해 기금 700억원을 조성, 사유 곶자왈의 10%인 6.6㎢를 매입하자는 ‘제주형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을 전개했지만 11억6000만원을 모으는 데 그쳤다. 제주도의 자체 운동만으로는 어려워지자 지난해 12월 환경부가 자연환경국민신탁과 연계하는 중재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전 대표는 “지역 신탁운동(로컬 트러스트·Local Trust)을 통해 곶자왈을 공유화하더라도 개발을 지향하는 각종 특별법에 따라 언젠간 매각될 수 있다”며 “국민신탁이 신탁 지분을 소유하고 지역신탁이 관리권을 갖는 게 곶자왈을 영원히 지키는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전 대표는 “자연환경국민신탁이 기부·위탁 받은 보전재산은 영구히 처분할 수 없다”며 “법적으로 확실하게 곶자왈을 보전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자연환경국민신탁은 우선 곶자왈이 인류 공동의 자산임을 널리 알려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는 범국민적 캠페인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전 대표는 환경법 분야 권위자이자 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영국의 내셔널 트러스트를 국내에 들여온 주인공이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