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재 리스트 오른 北 단체·개인들… 39호실, 불법 외화벌이 총본산

입력 2010-08-31 18:16


미국 정부가 30일(현지시간) 발표한 대북 추가 금융제재 리스트에 오른 대상들은 그동안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통치자금 관리와 대량살상무기(WMD) 확산 및 무력도발에 연관된 것으로 꾸준히 지목된 개인이나 단체다.

◇범죄의 총본산 노동당 39호실=노동당 39호실은 김 위원장의 통치자금을 총괄하는 기구다. 김 위원장의 고교 동기동창인 전일춘(69)이 책임자다. 김 위원장의 해외 은닉 비자금은 알려진 것만 40억∼50억 달러에 이른다.

1974년 설치된 39호실 산하에는 무역회사 100여개를 비롯해 각종 해외지부, 대성은행 등 금융기관과 금광까지 있다. 합법적인 외화벌이는 물론 무기수출 대금, 위조지폐 및 마약거래 등 불법행위로 인한 수익금이 모두 모인다. 고위층 선물로 쓰이는 벤츠 등 사치품의 수입창구 역할도 한다.

국무부는 또 39호실이 지난해 대당 1500만 달러인 이탈리아제 초호화 요트 2대를 구입해 북한으로 보내려다 적발됐고, 2005년에는 돈세탁 우려 대상으로 지정됐던 마카오 은행 방코델타아시아(BDA)를 통해 불법적인 자금세탁을 기도했다고 밝혔다.

◇대남도발 핵심인 정찰총국과 김영철=정찰총국은 2009년 2월 노동당 소속의 작전부와 35호실, 인민무력부 산하 정찰국이 통폐합돼 탄생했다. 총국장은 김 위원장의 측근이자 군부 강경파인 김영철(64) 상장이다.

김영철은 68년 미 푸에블로호 피랍 당시 군사정전위 연락장교(소좌)였고, 90∼92년에는 남북고위급회담 대표를 맡아 서울을 방문하기도 했다. 2006∼2007년 남북장성급 군사회담 북측 대표 시절에는 “북방한계선(NLL)은 강도가 그은 선”이라는 폭언을 하기도 했다.

김영철은 정찰총국을 통해 천안함 사태,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에 대한 암살기도 사건 등을 일으킨 배후로 지목된다. 정찰총국 산하에는 해외 무기 수출업체인 청송연합(Green Pine Associated Corporation)이 있다. 미 국무부는 북한이 해외에 수출하는 재래식 무기 총 거래량의 절반 이상을 이곳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천안함을 공격한 어뢰인 CHT-02D도 청송연합이 해외에 수출하는 품목이다.

◇WMD 확산의 주체들=미 행정명령 13382에 의한 추가 제재 대상에 오른 노동당 군수공업부는 대포동 2호를 포함한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 업무를 감독하는 부서다. 산하에 있는 제2자연과학원은 중장거리 미사일 연구개발의 핵심 기구로 파악된다. 제2경제위원회는 탄도미사일 생산을 감독하는 노동당 기구다. 제2경제위원회는 조선광업개발무역(KOMID), 창광무역, 용봉총회사, 묘향산총회사 등을 통해 해외에 무기를 거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성무역과 흥진무역은 KOMID와 연결돼 있다. 대성무역은 KOMID를 대리해 시리아와 거래를 하며, 흥진무역은 이란의 ‘샤히드 헤마트 인더스트리얼 그룹’에 미사일 관련 물자를 제공하는 데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윤호진 남천강무역 대표는 핵개발 및 핵확산 시도의 핵심 인물로 꼽힌다. 지난해 7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위원회가 발표한 제재대상 개인 5명에 포함됐다. 이제선 원자력총국장과 이홍섭 전 영변원자력연구소장은 핵프로그램과 영변핵연구소 활동을 책임지고 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