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4대강 국회” 강공 채비… 예결산 심사 총력 “총리실장 인사 검증” 공세도
입력 2010-08-31 17:57
민주당은 인사청문회 성과를 등에 업고 공격적인 9월 정기국회 대여(對與) 전략을 세웠다.
박지원 비상대책위 대표는 31일 서울 수유동 아카데미하우스에서 열린 워크숍에서 “8·8 개각 인사청문회에 이어 정기국회가 민주당의 장(場)이 되도록 현안 보고와 국정감사를 통해 국정 현안의 문제점을 파헤치자”고 강조했다. 청문회에서 후보자들의 각종 의혹을 부각시켜 결국 낙마까지 이끌어냈다는 여론의 평가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국회 전략을 예고한 것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일단 정기국회에서 예·결산 심사 등을 통해 이명박 정부의 실정을 들추고, 4대강 사업을 저지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4대강 사업 예산을 대폭 삭감해 기존의 치수사업 수준으로 축소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기업형슈퍼마켓(SSM)을 규제하는 유통산업발전법을 비롯한 민생법안 40개 처리에 당력을 모으기로 했다. 여권의 친서민 정책에 대해서는 ‘짝퉁’이라고 비난하며 야간 집회를 제한하는 집시법, 휴대전화 감청을 합법화하는 내용의 통신비밀보호법 등 여권의 20개 법안을 강력 저지키로 했다.
아울러 국회 정무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2일 총리실 결산 보고를 위한 전체회의에서 임채민 국무총리실장에 대한 인사검증 절차를 갖기로 했다. 이들은 “국무총리실장은 인사청문회법상 검증 대상이 아니지만 세금 납부 및 전출입 내역 자료 제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인사 검증을 정식 안건으로 상정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있다. 여권의 개헌론 제안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박기춘 원내수석부대표는 “개헌을 집권세력 내 정파 간 이해관계를 위해 이용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했다.
그러나 10·3 전당대회를 앞두고 지도체제와 지역위원장 선출을 둘러싼 계파 간 잡음도 커지고 있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부산 출신의 조경태 의원이 “내가 시당위원장인데 왜 지역위원장을 뽑는데 내 의견을 반영하지 않느냐. 민주당이 아니라 깡패당”이라고 반발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장영달 당무위원도 성명을 내고 “모범적인 지역위원회가 계보정치에 휘둘려 희생당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