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고개든 민주 당권다툼… 全大준비 토론회 논쟁 가열

입력 2010-08-30 17:55


민주당 당권 주자들의 힘겨루기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민주당은 30일 오후 국회 도서관에서 ‘10·3 전당대회를 어떻게 치를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갖고, 집단지도체제 도입과 지도부 선출방식 등을 둘러싸고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먼저 지도부 선출방식을 놓고 대의원투표제를 선호하는 정세균 전 대표 측과 여론조사 혼용을 원하는 손학규 전 대표 측이 격돌했다.

정 전 대표 측 윤호중 전 의원은 “아침 일찍 버스를 타고 체육관에 나온 대의원의 한 표보다 자택에서 전화로 여론조사에 응하는 당원 응답에 가중치를 두는 건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손 전 대표 측 이춘석 의원은 “시대가 바뀌면 전대 규칙도 변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만년 야당이 아니라 재집권을 하려면 국민의 뜻을 반영해야 한다”고 반격했다.

비주류 쇄신연대 측 최재천 전 의원은 “우리의 뿌리인 국민을 벗어나 수권정당이 될 수 없다”며 전당원투표제로 순수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하자고 요구했다.

민주당은 전당대회준비위가 마련한 안을 바탕으로 늦어도 다음달 초까지 지도부 체제와 선출방식 등을 규정하는 당헌·당규안을 당무위에서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당 자체 여론조사 결과 대의원(50.5%)과 당원(54.7%)들은 순수집단지도체제를 현행 단일성 집단체제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의원과 지역위원장(70.1%)은 현 체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정동영 상임고문이 참여하고 있는 쇄신연대 소속 의원들은 이날 오전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 반영이 필요하다며 개방형 전당원투표제를 요구했다.

이들은 “당원의 선거권이 보장되지 않는 당 지도부 선출은 원천 무효”라며 “현행 당헌·당규에는 모든 당직선거에서 당원의 선거권이 완전히 배제된 만큼 명백한 당헌 위배이며 정당민주주의의 훼손”이라고 비판했다.

당권 주자인 천정배 의원도 “당대표 국민직선제는 당이 국민에게 쇄신 의지를 증명할 확실한 증거”라며 전당원투표제를 요구했다.

반면 정 전 대표는 같은 날 광주·전남지역 기자간담회에서 “수능을 앞둔 수험생이 출제 경향을 바꾸라고 하는 요구는 누가 봐도 무리하다”며 “전당대회를 한 달 앞두고 도전자들이 이해관계에 따라 룰을 이리저리 바꾸라고 요구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반박했다.

이처럼 유력 당권주자들의 갈등이 표면화되면서, 당 일각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최근 국회 인사 청문회를 통해 ‘야당이 제 역할을 했다’를 했다는 긍정적 여론이 조성되는 상황에서 진흙탕 싸움으로 비쳐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