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물 수두룩한 이-팔 ‘평화협상’… 첨예대립 ‘정착촌’ 문제 해법 마련 최대 난제
입력 2010-08-30 21:27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중동평화 직접협상이 20개월여 만인 다음달 2일 미국에서 재개된다. 하지만 정착촌 건설문제 등 핵심 쟁점에서 간극이 여전한 데다 양측 내부 강경파들의 반대 목소리가 높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정착촌’은 협상의 최대 걸림돌=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다음달 1일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마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과 각각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날 저녁엔 이들과 호스니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이 함께 참석하는 만찬이 있다. 이어 2일 네타냐후 총리와 압바스 수반의 직접회담이 예정돼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9일 보도했다. 2008년 12월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격으로 회담이 중단된 후 첫 만남이다.
회담의 성사는 오바마 대통령이 국가안보위원회 중동 담당 고위 관리인 데니스 로스를 중동특사로 보내 수개월간 물밑작업을 한 덕분이다.
발등의 불은 다음달 26일 시한이 끝나는 유대인 정착촌 동결 조치의 처리 문제다. 네타냐후 총리가 동결 조치를 연장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대세다. 압바스 수반도 29일 “유대인 정착촌 건설이 재개되면 협상 테이블에서 물러나겠다”며 양보할 수 없다는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전문가를 인용해 “이 사안에 대해 양측이 고집을 세우면 가까스로 살려낸 중동평화협상 불씨는 다시 꺼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은 로스 특사를 보내 몇 가지 대안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건설 중인 서안지구에서만 정착촌을 허용하고 다른 지역에서의 추가 건설은 불허하는 방안이다. 또 첨예한 쟁점인 팔레스타인 독립국 인정 이후의 이스라엘 안보보장 문제, 이란 핵무기 제조 문제 등에 대한 타협안도 다각도로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내부 강경파를 단속하라=양측 모두 내부 강경파들의 반발이 고민스럽다. 이스라엘 연립정부에 참여한 샤스당의 정신적 지도자인 랍비 오바디아 요세프는 29일 “아부 마젠(압바스 수반의 별칭) 같은 역겨운 민족은 지구상에서 사라져야 한다”며 “신이 그들을 역병으로 벌할 것”이라고 원색 비난을 퍼부었다.
미국의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가 “유감스럽다”고 밝히고, 네타냐후 총리조차 “이스라엘 정부는 팔레스타인과 평화를 원한다”는 말로 거리두기에 나섰다. 하지만 이는 중동평화협상을 바라보는 이스라엘 내부 강경파의 분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압바스 자치정부 수반 역시 영향력이 서안지구에 국한됐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2007년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가자지구 통제권을 자치정부로부터 넘겨받아갔기 때문이다.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이 “성패는 양측 극단주의자들이 중앙무대를 장악하기 전에 신속히 협상을 진행하는 데 달렸다”고 말한 것도 이런 배경과 무관치 않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