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험 수위 이른 중소기업 경영난
입력 2010-08-30 17:46
은행권의 중소기업에 대한 부실채권 비율이 통계 공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중소기업 부실채권비율(총여신 중 고정이하 여신 비율)은 3.04%로 3월말 2.19%보다 0.85%포인트 상승하면서 2003년 9월 관련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높았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9월에 1.34%였음을 감안하면 그 심각성을 가늠할 만하다. 최근 들어 중소기업들이 부쩍 어려움을 호소해왔지만 그게 엄살이 아님이 수치상으로 확인된 셈이다.
대기업들이 최고의 호황을 구가하는 상황에서 우리 중소기업들이 이처럼 어려움을 겪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물론 최근의 부실채권 급증세는 지난 6월 대기업 65곳이 구조조정 대상에 선정되면서 하청업체 등 관련 중소기업 채권이 연쇄 부실화된 영향이 작지 않다. 여기에다 수출에 비해 내수 회복이 더딘 것도 내수비중이 큰 중소기업들을 어렵게 하고 있다. 하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대·중소기업 간 불공정 하도급 등으로 성장의 열매가 중소기업에까지 가지 않는 데 있다. 지난해 1월과 올 4월을 비교해 원자재가격은 18.8%나 올랐지만 중소기업들의 납품단가는 겨우 1.8% 인상됐다고 하니 그래도 살아남은 기업이 대견하게 보일 정도다.
대·중소기업 간 양극화 문제가 얼마 전부터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삼성전자, 포스코 등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상생펀드 조성을 비롯한 중소기업 지원책을 내놓고 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우리 경제에 상생의 문화가 정착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이명박 대통령이 조만간 열릴 비상경제대책회의에 주요 대기업 총수들을 초청해 대·중소기업 상생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한다. 지금까지 상생협약식 등에 전문경영인만 참석해 실효성이 낮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우리 기업경영 풍토로 볼 때 타당한 인식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오너 기업인들의 의식 변화다. 그들이 중소기업을 진정한 동반자로 여길 때 상생의 경영이 이루어지고 양극화 현상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