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에 시정조치 74건… 불교엔 4건
입력 2010-08-30 20:53
공직자의 종교편향 행위에 대한 조사를 담당하는 문화체육관광부 공직자종교차별신고센터가 오히려 종교차별을 조장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교회언론회(대표 김승동 목사)는 29일 “공직자종교차별신고센터가 접수한 신고들에 대한 처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달까지 접수한 124건의 신고 가운데 기독교 관련 신고가 70.9%(88건)로 가장 많은 반면 불교는 12.0%(15건), 이단 관련은 10.4%(13건), 천주교는 2.4%(3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공직자종교차별신고센터는 기독교 관련 신고 된 것 중 74건(84.0%)을 시정 조치했지만 불교는 4건( 26.6%)에 그쳤고 천주교는 1건(0%)도 문제 삼지 않았다.
교회언론회가 밝힌 대표적인 차별은 기독교계의 서울 강남구 대치동 ‘칼빈로’ 거리 명명. 공직자종교차별신고센터는 이를 ‘종교차별’로 판단한 반면 같은 강남구 소재 도로명 중 ‘봉은사로’는 ‘종교차별로 볼 수 없다’고 결정했다. 또 성탄절 트리를 세우고 그 위에 십자가를 세우는 건 국민의 불편과 종교차별의 오해가 없도록 해당 기관에 권고했지만 경기도 A시 청사에 연등을 설치한 것은 종교기념일을 전후해 공공장소 내 설치하는 종교적 조형물은 문화나 축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며 종교차별이 아니라고 간주했다. 이밖에 대구의 불교테마공원 조성과 연등행사의 국고 지원도 ‘종교차별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했다. 매년 국고에서 185억원이나 지원되는 템플스테이(사찰 체험 프로그램)도 특정 종교에 대한 지원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교회언론회는 관련 논평을 내고 “문화부가 불교계 주장에 따라 2008년 10월부터 공직자종교차별신고센터를 운영해 오고 있지만 그 판단 기준이나 원칙이 결여된 결정이 적잖고 특정 종교의 주장에 끌려 다녔다는 인상이 짙다”며 “사실상 기독교를 감시하는 정치적 기관으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 언론회는 또 “각 종교에 대한 국가 재정 지원의 원칙과 투명성이 요구된다”며 “지금처럼 정부나 정치권, 언론이 특정 종교의 눈치나 보는 식으로 가다가는 더 큰 종교 간 갈등과 그로 인한 사회적 혼란이 심화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유영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