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 후보자 잇따라 사퇴] 원점으로 돌아간 개각… 후임 인선도 험로

입력 2010-08-29 20:30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와 2명의 장관 후보자들이 29일 잇따라 사퇴 의사를 표명함에 따라 후속 인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른 시일 내에 후보자를 선정하겠다는 게 청와대의 방침이지만 인선 작업이 쉽지 않아 보인다. 이번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위장전입 등의 문제가 발생하자 이명박 대통령이 인사검증 기준 강화를 주문했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소통 강화 차원에서 시민사회단체, 정치권 등과 함께 인사검증 기준 개선안을 마련키로 했다.

이 대통령은 임태희 대통령실장에게 후임 총리의 대략적인 인선 기준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고, 임 실장 주도로 인사비서관실이 후보군 작성 등 실무 인선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개선안 완료 후 후임 총리 인선에 적용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인사검증 기준 개선과 후임 인선 작업을 병행할 것으로 보인다.

후보군 작성은 지난 8·8개각 때 마련된 것에 얽매이지 않고 원점에서 다시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검증과 관련, 서류와 진술 상으로만 검증하지 않고 관련 현장을 직접 찾아가 탐문 등을 통해 검증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인선 기준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도덕성이 가장 우선적인 덕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현재로선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느냐가 인선의 첫 번째 기준이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차기 총리 후보의 도덕성 문제가 또다시 불거진다면 국정 공백이 장기화되는 것은 물론 이 대통령의 정권 장악력에 치명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선 청렴한 법관이나 학자 출신 혹은 전현직 장관 가운데서 발탁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전현직 장관의 경우 인사청문회를 통과한 경험이 있다는 점이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유력한 총리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는 김황식 감사원장과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전재희 전 보건복지부 장관 등은 모두 인사청문회를 통과한 경험이 있다.

차기 총리가 깜짝 발탁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점도 전현직 장관 출신들에게 더 눈길을 쏠리게 하는 이유다. 무난하게 내각을 이끌며 이 대통령의 국정을 뒷받침할 실무형 총리를 지명할 확률이 높다는 얘기다.

이밖에 조무제 전 대법관,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 이석연 전 법제처장과 김진선 전 강원·이완구 전 충남·정우택 전 충북도 지사 등도 후보군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조 전 대법관과 이 전 처장은 각각 청빈한 판사의 대명사로 이름을 날렸다는 점과 꼿꼿한 이미지로 높은 점수를 받고 있고, 강 전 대표는 여당 내부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역자치단체장을 역임한 후보군은 도정 경험이 있고, 지역 문제에서 자유롭다는 게 강점이다. 정치권 일각에선 지난해 개각에 앞서 이 대통령이 고려했던 심대평 국민중심연합 대표 카드가 다시 살아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의 후임으로는 한나라당 나경원 최고위원과 정병국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장, 주호영 장광근 조윤선 의원, 유진룡 전 문화부 차관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작가 이문열씨, 박범훈 중앙대 총장 등 문화계 인사들의 이름도 들린다.

이재훈 지식경제부 장관 후보자 후임으로는 조환익 코트라 사장과 오영호 무역협회 부회장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유인촌 장관과 최경환 장관이 연말까지 유임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