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마약 조직, 정부 단속 피해 활동 영역 넓히자 과테말라 등 인접 3개국 속앓이

입력 2010-08-27 18:13

멕시코 정부가 벌이고 있는 마약 조직과의 전쟁이 격화되면서 남쪽 인접 국가들이 예기치 않은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 멕시코 마약 밀매조직은 정부가 군·경을 동원해 대대적인 조직원 검거와 단속에 나서자 이를 피하기 위해 인근 국가로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다.

멕시코 마약 조직들은 그동안 ‘중간 보급루트’ 정도로 여겨왔던 중남미 지역에서 직접 땅을 사들이고 무기와 마약을 숨길 거점을 확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나 이들은 현지 범죄 조직망을 고용해 마약 운반과 밀매에 활용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사태가 이렇게 전개되자 과테말라와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정부는 전전긍긍하고 있다. 이들 3국의 경우 ‘마라18’ 등 기존 악명 높은 국내 갱단들의 발호를 막기에도 힘들어하는 실정이다. 이를 반영하듯 이 권역의 살인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2008년 유엔 자료에 따르면 인구 10만명당 피살자 수는 온두라스 61명, 엘살바도르 52명, 과테말라 45명으로 멕시코 12명, 미국 5명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중미 각국 정부 관리와 전문가들은 멕시코 마약 조직들이 이 지역에서 확고한 활동·전략 거점을 마련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과테말라 경찰은 지난해 한 마약 조직이 신입 단원 훈련장소로 사용하던 목장에서 수류탄 소총 등 상당한 무기류를 발견하기도 했다.

따라서 중남미 3국의 치안 혼란 상황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2006년 12월 취임한 펠리페 칼데론 멕시코 대통령은 지금까지 마약 조직과의 전쟁을 계속해 왔다. 이 기간 사망자만 2만8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될 정도다. 지난 25일 멕시코 북동부의 한 목장에서는 마약 조직에 의해 희생된 사체 72구가 발견됐다고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군·경은 즉각 대대적인 용의자 검거 작전에 돌입한 상태다.

갈수록 사생결단식으로 격돌하고 있는 멕시코 정부와 마약 조직의 혈전이 계속될수록 중남미 3국은 곤혹스러운 상황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이동재 선임기자 dj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