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청문회] 김태호 총리 후보자, ‘거짓말’에 이미지 실추… 표결까지 가도 좁은문
입력 2010-08-26 21:42
국회 인사 청문회에서 수차례 말을 바꿔 논란에 휩싸인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 그의 앞에는 청문회보다 더 험난할 수 있는 인준 과정이 남아 있다.
◇의혹 해소에 실패한 청문회=김 후보자는 청문회 전 “의혹을 모두 해소하겠다”고 장담했다. 하지만 24∼25일 이틀간 청문회에서 드러난 것은 각종 의혹에 대한 김 후보자의 거짓 해명과 말 바꾸기뿐이었다. 한나라당 특위 위원들 사이에서조차 “도와주려 했지만 도저히 안 되더라”는 한탄이 나왔을 정도다.
무엇보다 젊은 총리로서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데 실패하고 야당 의원들의 말처럼 ‘도덕성도, 비전도, 전문성도 없는’ 후보로 낙인찍혔다는 점에서 큰 타격이다.
◇1차 관문은 국회 인사청문특위=김 후보자의 인준 첫 단계는 국회 인사청문특위의 경과보고서 채택이다. 현재 민주당 등 야당은 보고서 채택조차 해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인사청문특위는 한나라당 7명, 민주당 4명, 민주노동당, 자유선진당 각 1명으로 구성돼 있다. 한나라당이 한 명 더 많기는 하지만 야당이 강력 반발할 경우 보고서 채택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초 여야는 27일 본회의에서 김 후보자 인준 표결을 처리키로 했으나, 청문회 후 민주당이 보고서 채택을 거부하면서 표결 처리가 불투명해졌다. 여야는 27일 오전 11시 인사청문특위를 열어 보고서 채택을 논의하기로 했다. 하지만 민주당이 끝까지 반대할 경우 한나라당이 단독으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채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미 지난해 9월 정운찬 국무총리의 청문회 때도 한나라당은 단독으로 경과보고서를 채택했었다. 그러나 당시는 야당 의원들이 퇴장했지만 이번엔 다르다. 민주당이 “퇴장하지 않고 경과보고서 채택을 저지하겠다”고 입장을 정리했기 때문이다. 현재로선 여야의 충돌이 불가피한 셈이다. 인사청문특위에서 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으면 김 후보자 임명 동의안은 본회의에 상정되지 못한다. 박희태 국회의장이 직권 상정할 수 있지만, 여권 입장에서는 부담스런 대목이다.
◇본회의 표결도 낙관 못해=우여곡절 끝에 본회의에 상정돼 표결이 이뤄질 경우 의석수만 놓고 보면 가결이 무난해 보인다. 총리 임명 동의안의 경우 재적 과반수 출석에 출석 과반수 찬성으로 통과가 가능하기 때문에 172석을 보유한 한나라당으로선 정족수 채우기엔 문제가 없다.
하지만 여당 인사청문위원들 사이에서도 전날 ‘거짓말’ 파동 이후 부정적인 분위기가 확산되고, 소속 의원들 사이에서도 “총리감이 안 되는 것 같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어 쉽사리 장담할 수 없다는 관측도 있다.
◇김 후보자의 읍소 전화=김 후보자는 이날 인사청문특위 소속 여야 의원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협조를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후보자는 특히 야당 의원들에게는 “부족한 점이 많지만 잘 부탁드린다”고 한껏 몸을 낮췄다고 한다. 하지만 “(적격 판단이) 어렵다”는 답변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