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기본계획案 문제 많다] (하) 문철수 한신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인터뷰
입력 2010-08-24 17:49
“종편-보도채널 동시 선정해야 특혜시비 불식”
문철수(48) 한신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는 24일 서울 삼성동 한 호텔에서 만난 자리에서 “종합편성 채널과 보도전문 채널은 미디어 다양성 차원에서 도입할 필요가 있다”며 “미디어 다양성과 공익성 측면이라면 종편보다는 보도 채널이 더 우선순위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언론학 박사로 오랫동안 광고 시장을 연구하며 미디어 환경에 관심을 가져온 문 교수를 만나 종편과 보도 채널 선정 관련 이슈를 점검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17일 발표한 기본계획안에 대해 평가해 달라.
“기본계획안에는 방통위가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 그런데 고민을 스스로 해결하려고 하지 않고 누군가에게 떠넘기려 하는 것 같다. 사실상 모든 안이 포함된 계획안을 내놔 사업 희망자가 눈치를 보게 만드는 무책임한 모습을 보였다. 공청회도 우려스럽다. 어느 정도 비슷한 안을 가지고 하는 게 아니라 완전히 상반된 의견으로 하기 때문이다. 방통위가 원하는 방향이 있는데 공청회나 제3자의 입을 빌려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정말 나중에 특정 사업자를 봐줬다는 얘기가 나올 수 있다.”
-종편과 보도 채널이 이 시점에서 왜 필요한가.
“미디어 다양성 차원에서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는 종편보다 보도 채널이 우선순위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매체가 생기면 지상파도 더욱 긴장하게 되고 방송 전반적으로 분위기가 쇄신된다.”
-종편과 보도 채널의 개수가 초미의 관심사다.
“방통위의 기본계획안에서 종편은 ‘2개 이하’ ‘3개 이상’ 등 복수 안이 제시됐는데 요즘 방송광고 시장을 고려할 때 하나 이상은 살아남기 힘들어 보인다. 지금 상황에서 2∼3개가 생긴다면 100% 다 실패한다고 볼 수 있다. 보도 채널은 종편보다 많이 선정돼도 좋지 않겠나 생각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처럼 보도에 관심이 많은 국민도 없을 것이다. 2개 이상 선정돼도 될 것 같다.”
-종편 선정 후 보도 채널을 선정하는 방안도 있는데.
“종편과 보도 채널 선정은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 특정 언론사에 특혜를 준다는 의심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그렇게 해야 한다. 기본계획안에는 종편과 보도 채널의 초기 자본금을 따로 정했다. 별개의 사업군으로 본다는 것이다. 종편 사업자와 보도 채널 사업자는 각기 다른 그룹으로 나누는 게 옳다고 본다.”
-종편은 의무재전송인데 반해 보도 채널은 2개 이상만 의무재전송 대상이다.
“YTN과 MBN이 있는 상황에서 그렇게 정한 것이기 때문에 보도 채널 사업자가 선정되면 이 조항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보도 채널은 가만히 있어도 공공성이 지켜지는 채널이다. 이런 채널은 제한하면서 공익성 담보가 안 된 종편을 열어두는 건 난센스에 가깝다. 사업자 선정 후 이 부분은 재검토해야 한다.”
-10월로 예정된 헌법재판소의 방송법 부작위 소송 결정 이후로 선정 절차를 미루자는 의견도 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국가적으로 큰 손실이다. 정권 후반부로 갈수록 오히려 더욱 정치적인 결정을 할 우려가 있다. 방통위가 사업자 선정 시점을 올 12월로 정해놓은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보도 채널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나.
“현재 보도 채널처럼 24시간 뉴스 체제는 그대로 가져가되 재미있는 뉴스를 만들어야 한다. 정형화된 뉴스 타입에서 벗어나는 형식을 고민해봐야 한다. 지상파 뉴스에 관심이 떨어지는 이유 중 하나는 모든 뉴스가 똑같기 때문이다. 신문이 보도 채널을 운영하면 신문의 심층성을 접목시킬 수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