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반환점 여론조사] 민주 지지층도 45.9%가 “차명계좌 특검 필요”
입력 2010-08-25 00:29
고위공직자의 위장전입이 공직 수행의 결정적인 결격 사유라고 보는 비율은 30∼40대, 대학 재학 이상의 고학력자, 화이트칼라 계층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30대(69.5%)와 40대(66.9%)가 20대(54.2%)와 60대 이상(47.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마 사유로 보는 답변이 많았다.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가 80.0%로 가장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자녀 교육에 관심이 많은 계층일수록 위장전입을 부도덕한 문제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높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반면 주부들은 53.9%만이 낙마 사유가 된다고 답해 다른 직업군과 비교해 너그러운 모습을 보였다. 한나라당 지지층에서는 낙마 사유는 아니라는 응답이 46.5%로 낙마 사유라는 응답자(44.8%)보다 조금 높게 나왔다. 반면 민주당 지지자들은 낙마 사유(68.2%)가 낙마 사유가 아니라는 답변(26.2%)을 압도했다.
조현오 경찰청장 후보자의 노무현 전 대통령 차명계좌 발언과 관련한 특검 도입에 대해서는 진상 규명을 위해 필요하다는 응답이 49.1%로 필요치 않다(43.7%)보다 높았다. 모름(무응답)은 7.2%였다.
한나라당 지지층에서는 특검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5.1%로 필요치 않다(37.8%)보다 10% 포인트 이상 높았다.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필요하지 않다가 49.5%로 필요하다(45.9%)보다 다소 높게 집계됐다. 민주당 지지층의 절반 정도가 특검 도입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것은 의외의 결과다. GH코리아 사회조사본부 이은영 이사는 “민주당 지지층은 특검에서 아무것도 나오지 않으면 여권이 책임지라는 생각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