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반환점 여론조사] 56.9% “통일세 반대”… 부과방식은 채권·통일복권 선호

입력 2010-08-24 19:23


이명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제안한 통일세 도입에 대해 56.9%가 반대 의견을 보였다. 찬성한다는 의견은 34.7%, 모름 및 무응답은 8.4%였다.

통일세를 걷는 구체적 방법으로는 ‘채권이나 통일복권 발행’(26.2%) 혹은 ‘현 남북협력기금 확대’(25.4%)를 지지하는 의견이 우세했다. 통일을 목적으로 한 직접세를 새로 만들자(17.1%), 생필품에 부과하는 부가세와 같은 간접세로 조성하자(13.9%)는 의견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통일세 도입에 대해서는 만 60세 이상에서만 찬성(49.1%)이 반대(41.4%)보다 높게 나왔고, 다른 연령층에서는 모두 반대 의견이 많았다. 연령이 낮을수록 반대 의견이 강해 19∼29세의 경우 68%가 통일세를 반대했다. 특히 이 대통령에 대한 지지 및 정치성향 차이가 통일세 논란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찬성(49.3%)이 반대(42.1%)보다 많았지만, 민주당 지지자는 반대(72.5%)가 찬성(20.9%)을 압도했다. 국민참여당(92.3%), 민주노동당(70.3%), 자유선진당(53.9%) 지지자도 반대 비율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호남이 반대 67.7%, 찬성 22.2%로 나타났다. 반면 대구·경북은 반대 44.8%, 찬성 45.5%, 부산·울산·경남은 반대 58.8%, 찬성 38.4%를 보였다.

통일세 징수 방식에 대해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와 주부는 채권이나 통일복권 방식을 선호했고, 자영업자는 남북협력기금 확대를, 블루칼라는 간접세를, 농·임·어업 종사자는 직접세 신설을 가장 선호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