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반환점 여론조사] 개헌시 권력구조… “미국식 4년중임제 선호” 37%
입력 2010-08-24 19:21
현행 5년 단임 대통령제를 바꾸기 위해 개헌을 실시해야 한다는 여론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가장 선호하는 권력구조로는 미국식 4년 중임 대통령제가 꼽혔다. 이처럼 국민들이 개헌에 상당 부분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명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를 통해 촉구한 국회의 개헌 논의도 활발해질지 주목된다.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개헌에 대한 질문에 찬성 답변이 47.0%로 반대(36.9%)보다 10.1% 포인트 높게 나왔다. 찬성 의견은 한나라당 지지자(54.0%)와 대구·경북(51.4%), 현 정부 국정운영에 대해 ‘잘한다’고 평가한 응답자(58.0%)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 대통령과 한나라당에서 개헌론을 적극 들고 나온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면 민주당 지지자,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잘못한다고 평가한 응답자들은 개헌에 반대한다는 의견이 각각 46.0%, 51.2%였다.
개헌은 여성(40.7%)보다 남성(53.5%)의 찬성 응답이 많았고, 연령별로는 50대(50.6%)의 찬성률이 가장 높은 반면 29세 이하는 40.6%에 그쳤다. 개헌 찬성 응답자 중 가장 많은 36.9%는 바람직한 권력구조 형태로 대통령 4년 중임제를 꼽았다. 다음으로 의원내각제 28.2%, 분권형 대통령제 24.8% 순이었다.
대통령 4년 중임제는 30대(41.0%)와 40대(43.3%)에서 선호 현상이 뚜렷했고 지역별로는 서울(38.9%), 인천·경기(41.1%)에서 찬성률이 높게 나타났다. 자영업자(44.5%)와 화이트칼라(43.9%) 직업군과 대학 재학 이상 고학력군(39.2%)에서 찬성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대통령 4년 중임제 개헌에 대해 한나라당 지지자의 40.2%가 찬성했으나 민주당 지지자는 30.3%에 그쳐 뚜렷한 시각차를 보였다. 한나라당 차기 대선 주자들의 지지도가 민주당 차기 주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오고 있는 점도 이런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민주당 지지세가 높은 광주·전남북 지역의 경우 내각제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43.5%로 대통령 4년 중임제(32.5%)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또 한나라당 친이-친박 간 계파 갈등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자의 내각제 찬성률은 29.4%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대통령제가 유지될 경우 계파 갈등이 지속될 것을 우려한 결과로 분석된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