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청문회] 진수희 후보자, 울컥 딸 국적 논란에 “나라 위해 헌신할 아이인데…”

입력 2010-08-23 21:54


진수희(사진)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23일 국회 보건복지위 인사 청문회에서 야당 의원들로부터 딸의 미국 국적 취득과 재산 형성 의혹 등을 집중 추궁 당했다.

민주당 양승조 의원은 “일부 국민이 원정출산을 통해 자녀의 미국 국적을 취득하는 것이 사회적 문제인데, 장관 후보자의 딸이 미국 국적을 취득해도 되겠느냐”고 질타했다. 진 후보자는 “딸이 (유학에서) 돌아오면 국적 회복을 권유하겠다”면서 “우리나라를 위해 일할 아이라는 것은 확신을 갖고 말씀드리겠다”며 눈물을 비치기도 했다.

민주노동당 곽정숙 의원은 “딸이 한국 국적을 포기했는데도 불구하고, 국민건강보험 혜택을 누린 것에 대해 국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몰아붙였고, 진 후보자는 “공단 데이터가 제대로 정리되지 않아 그렇게 됐는데 이번에 보험료를 다 정산했다. 아이 탓이 아니라 저의 불찰로 송구스럽다”고 고개를 숙였다.

민주당 전현희 의원은 “최근 5년 동안 지출과 수입을 대조할 때 4억8000만원의 추가 소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보건복지위는 진 후보자의 재산 내역을 검증하기 위해 정회까지 했지만 숫자를 맞추진 못했다. 진 후보자는 “부친 재산 상속과 남편 소득을 합하고도 3000만∼4000만원이 비어 나도 혼란스럽다”고 했다. 야당 의원들은 해당 소득을 추가 소명하지 않으면 24일 청문보고서를 채택하지 않겠다고 압박했다.

민주당 최영희 의원이 제기한 아파트 다운계약서 작성 의혹에 진 후보자는 “거래 성사를 위해 어쩔 수 없었지만, 매수자의 탈세를 도왔다고 지적하신다면 죄송하다”고 말했다. 같은 당 추미애 의원은 “부동산 매매 과정에서 탈세를 하고도 그게 관행이라고 한다면 후보자는 무엇으로 복지 재정을 마련하겠느냐”고 몰아붙였다. 이어 “딸이 미국 국적을 가지고 건강보험 혜택을 본 것은 ‘복지 사기’이고, 취업비자 없이 국내에서 근로소득을 올린 것은 탈세”라고 강조했다. 진 후보자는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진 후보자는 의료계 현안인 영리병원 도입과 관련, “정부는 의료 민영화를 추진하지 않고 있고 앞으로도 계획이 없다”며 “현행 의료 서비스의 취약점을 개선하지 않고선 영리병원 도입은 어렵다”고 밝혔다. 대북 보건사업과 관련, “전염병 방제 등 보건의료 분야는 남북관계 경색과 관계없이 계속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또 “(담뱃값 인상은)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한다”며 “국회에서 의견을 모아 달라”고 주문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