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과 나눔-POSCO] 금융지원부터 일자리 창출까지… 中企와 총체적 협력

입력 2010-08-23 22:06


최근 포스코는 연일 협력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 방안을 쏟아내고 있다. 금융지원부터 일자리 창출까지 경영 전 부문에 걸친 내용이 담겼다. 여기에는 이익보다 신뢰를 강조하는 정준양 회장의 경영철학이 담겼다는 게 포스코 측 설명이다.

포스코는 23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어려움을 겪는 협력 중소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지원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현재 73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펀드를 운용 중이다. 또한 지난해에는 신한·우리·기업은행과 함께 200억원을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출연하는 상생보증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협력 중소기업에 출연금의 16.5배인 3300억원의 대출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 것.

포스코 관계자는 “다양한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포스코 및 계열사들과 거래하는 813개 중소기업에게 총 5207억원의 대출이 진행돼 포스코 공급망의 경영안정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포스코는 협력 중소기업에 구매대금을 납품 후 3일 이내에 전액 현금으로 지급하고 있으며, 설·추석 이전엔 매일 지급하는 것으로 조정했다.

기술협력 및 교육훈련 부문도 눈에 띈다. 포스코는 연구개발(R&D) 인력과 고가의 시험연구장비 확보가 어려운 협력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키워주기 위해 맞춤형 기술지원 프로그램인 ‘테크노 파트너십’을 운영 중이다. 이 프로그램에는 2006년부터 포스텍(포항공대) 등 7개 연구기관이 참여해 기술 컨설팅 및 시험연구장비 무상이용 등을 돕고 있다. 2008년엔 국내 처음으로 정부와 100억원의 민·관 R&D 협력펀드를 조성, 중소기업 R&D 자금 지원에 나섰다.

포스코는 우수한 교육시설과 인력을 활용, 중소기업 임직원의 직무능력 향상 등을 위한 직업훈련 컨소시엄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중소기업 인력 2만8400명을 교육했으며 올해는 3만6800여명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포스코 측은 “대일 무역역조 주범이 일본 부품소재기업과의 기술력 차이인 만큼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이 필수”라고 지적했다.

2004년 국내 최초로 도입한 ‘성과공유제(Benefit Sharing)’도 대표적 상생협력 프로그램이다. 이는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구매협력 개선활동을 수행하고 그 성과를 나누는 것이다. 지금까지 548개사가 1062개 과제에 참여했고, 289개사에 532억원의 성과보상이 이루어졌다. 또 과제에 참여한 중소기업에는 장기 계약권, 물량 확대, 공동특허 등의 혜택을 주고 있다.

정 회장은 최근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활동이 1차 협력기업에만 국한되고 있는 만큼 2∼4차 협력 중소기업도 실질적인 상생협력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1차 협력기업의 납품단가 조정 시 2∼4차 협력기업에게도 동일한 효과가 미칠 수 있도록 계약약관상 조정내용 반영을 적극 유도키로 했다. 상생보증 프로그램, 테크노 파트너십 등도 2∼4차 협력 중소기업에 확대 적용된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