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적자 눈덩이…올해 3143억 예상 해마다 증가
입력 2010-08-22 22:16
서울 시내버스 운송적자가 지난해 최대치를 기록했다. 경기 침체에 따라 버스요금 동결이 지속된 데다 서울시의 운송비용 절감대책이 뾰족한 효과를 거두지 못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시내버스 운송 적자와 시의 재정 지원 규모는 2004년 준공영제 도입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운송적자는 2007년 1703억원, 2008년 2056억원에 이어 지난해 2692억원으로 급증했다. 시가 버스 업계에 지원하는 재정 규모는 2007년 1636억원에서 2008년 1894억원으로 늘어났고 지난해에는 2900억원으로 증가했다.
시는 올해 운송적자도 3143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여기에 지난해 지원하지 못해 이월된 582억원까지 합치면 시가 지원해야 할 금액은 3725억원으로 집계된다. 이와 관련, 시는 90억원의 비용을 줄이고 470억원을 내년으로 이월시킬 계획이다. 하지만 올해 편성된 예산이 1900억원에 그쳐 나머지 부족분을 추경예산 등으로 충당해야 하는 실정이다.
적자가 쌓이는 주된 이유는 버스 요금 인상을 자제하면서 수입은 감소한 반면 유류비와 인건비 등의 비용은 계속 증가했기 때문이다. 서울 시내버스 요금은 준공영제가 도입된 2004년 7월 700원에서 800원으로 올랐다. 이후 2007년 4월 800원에서 900원으로 한 차례 인상된 데 그쳤다.
또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등 교통수단 간의 환승 때 요금을 깎아주는 통합환승할인제도에 따라 실제 버스 승객 1인당 평균 운임은 655원으로 기본요금 900원에 못 미치고 있다. 이는 시내버스 승객 1인당 운송원가 812원의 80.7%에 그치는 수준이다. 승객 1명을 태울 때마다 157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것이다.
시는 2004년 이후 차량 701대를 줄이고 비수기 운행 횟수를 줄이는 등 비용 절감대책을 추진했지만 큰 효과를 보지는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올해에도 서민경제가 좋지 않아 버스요금을 올리기는 어려운 실정”이라며 “버스 노선을 조정하고 추가로 차량 대수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