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주 곡창지대 피해 극심 北-中 통행은 문제없는 듯

입력 2010-08-22 21:22

북한의 이번 압록강 범람으로 인한 홍수 피해는 예상보다 심각한 것으로 22일 전해졌다. 북한은 신의주의 대표적 곡창지대인 황금평을 비롯한 압록강 주변 농경지를 잃는 등 심대한 타격을 입었다. 또 만성적인 의약품, 방역물자 부족으로 전염병 위험이 높아져 앞으로 피해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 대북소식통은 “북한은 수해방지 능력이 중국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상태”라며 “(1995년 홍수 이후) 중국이 단둥에 방벽을 세우고 둑을 높여 신의주의 피해가 더 컸을 것”이라고 전했다. 강 반대편인 신의주가 단둥에 비해 저지대인 데다 방비 시설도 취약해 피해가 더 컸다는 설명이다. 그나마 북·중 교역통로인 단둥과 신의주 사이의 교통망은 큰 피해를 입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신문인 신경보(新京報)는 1995년 이후 15년 만에 가장 큰 홍수 피해에도 불구하고 열차 운행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보도했다.

북한 매체들의 홍수 피해 보도는 이례적으로 신속하고 상세하다. 조선중앙통신은 21일 압록강 범람에 대해 당일 비교적 소상히 보도했다. 지난달 21∼23일 발생한 개성시·함경남도·강원도·자강도 등의 폭우 피해 때는 조선중앙TV가 27일에야 보도했다. 이를 두고 북한 정권이 남한을 비롯한 국제사회를 향해 절박하게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이번 북한 홍수 피해와 관련해서도 일단 기존의 기조를 유지할 방침이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현재로서는 북의 지원 요청이 없는 상태이며, 정부 차원에서 지원도 검토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선별적으로 지속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홍수 피해에 대한 지원을 검토할 가능성도 있다. 이럴 경우 천안함 사태 이후 꼬일 대로 꼬인 남북관계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천안함 사태에 대응한 5·24조치 이후 대북지원 사업은 전면 중단하고 있지만, 영유아·임산부 등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선별적으로 검토해 허용하고 있다. 우리민족서로돕기 운동본부 측은 지난 17일 정부의 승인을 받아 북한에 4억원 규모의 말라리아 물자를 전달한 바 있다. 또 정부는 20일 56개 대북 인도지원단체로 구성된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의 북한 주민 접촉 신청을 허용했다. 따라서 이 단체는 조만간 중국 선양에서 북측 대남기구인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 관계자들을 만나 홍수 피해지원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