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李-朴 회동 ‘국정 동반자’로 발전을

입력 2010-08-22 22:05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21일 배석자 없이 오찬회동을 가졌다. 11개월 만이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은 “두 분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와 경제문제를 포함한 국내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전했다. 그는 “당내 문제와 관련해선 앞으로 한나라당이 국민의 신임을 잘 얻어 이명박 정부의 성공과 정권 재창출을 해야 하고, 그것을 위해 같이 노력해야 한다는 대화가 있었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회동이 끝난 뒤 밝은 표정으로 악수하면서 함께 사진을 찍었다고 한다.

회동은 당초 7·28 재·보선을 전후해 가질 것으로 예상됐었다. 한 달 정도 미뤄진 것은 보다 밀도 있는 대화가 되도록 하기 위해 양측이 준비를 많이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두 사람의 구체적인 대화 내용이 공개되진 않았지만 이 의원의 전언이 사실이라면 정치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의견교환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정권 재창출’ 문제가 깊숙히 논의됐다면 두 사람이 화해의 물꼬를 텄다는 해석을 할 수도 있겠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대선 이후 줄곧 갈등과 반목의 세월을 보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 의원들은 친이계와 친박계로 쫙 갈라졌다. 결국 한나라당은 과반이 훨씬 넘는 의원을 확보하고 있음에도 집권당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두 사람이 화해하고 한나라당이 계파를 해체해야만 당이 제 역할을 할 수 있고, 그래야만 국정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것은 나라를 위한 길이기도 하다.

두 사람이 화해의 단초를 마련했다면 이 대통령은 이제 외골수 통치 방식에서 탈피해 박 전 대표를 진심으로 끌어안아야 한다. 박 전 대표의 전폭적인 지원을 얻어내기 위해서는 ‘공동정부’를 운영한다는 자세로 임할 필요가 있다. 박 전 대표 역시 이제 마음의 문을 활짝 열고 이 대통령을 도울 때다. 국정의 발목을 잡는 듯한 인상을 줄 경우 자신의 대권가도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완전한 화해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양자 회동이 앞으로도 계속돼야 한다. 국민들은 두 사람이 머리를 맞대고 진지하게 국정을 논의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