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A 사회위원장 아라카와 목사 ‘전후 책임 소홀’ 일본정부에 목소리 내겠다

입력 2010-08-20 17:26


“일본 정부는 전후 책임에 소홀했습니다. 일본의 한국(조선) 식민지 지배의 현실을 역사적으로 검증하는 작업을 한일병합 100주년을 계기로 한층 더 진행시켜야 합니다.”

일본복음동맹(JEA) 사회위원회 위원장 아라카와 마사오(67·일본 마에바시그리스도교회·사진) 목사는 상기된 표정이었다. 일본 기독교를 대표하는 JEA 사절로 ‘한국교회 8·15 대성회’에 참석했다가 19일 돌아가면서 그는 “한국인들의 36년 동안의 고통과 강한 질문, 그 진지함에 놀랐다”고 전했다. 그동안 일본에서는 1910년 한일병합이나 황민화 정책, 창씨개명이 합법적이라는 평이 대세였다는 것이다.

아라카와 목사에 따르면 30여년 전 문을 연 JEA는 36년간 고난받은 한국에 대한 일본의 전후 배상을 촉구하면서 일본인들의 회개를 주장했다. 재일 한국(조선)인들의 지위 향상도 요청했다. 일본에서, 그것도 일본교회에서 이 같은 움직임이 일어났다는 사실은 일본 사회를 놀라게 했다. 그리고 시민단체 등과 함께 끊임없이 요구한 끝에 지난 10일 간 나오토 총리의 한·일 강제병합 100년과 관련한 사죄 담화를 이끌어 내는데 힘을 보탰다.

아라카와 목사는 간 총리의 사과는 시의적절했지만 미흡한 측면이 적지 않다고 평했다. 위안부, 강제징병 등 전후 배상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을사조약은 국제법적으로 무효이며 이것을 전제로 맺어진 한일병합 조약도 무효”라고 했다. 그리고 “일본교회는 그동안 천황제도에 매몰돼 자율적인 공동체를 형성하지 못한 결과, 우상화한 국가를 하나님과 나란히 하는 죄를 범하였다”며 “그 죄는 주님 앞에 크고 일본교회는 정죄 받아 마땅하다”고도 했다.

“일본 기독교는 몇 차례 성장 기회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천황 숭배를 주창하는 일본 정부의 방침에 순응하면서 복음화율이 0.5%에 그치고 있지요. 또 경제적 풍요로움에 자만하고 하나님을 멀리한 것도 교회의 위기를 가져왔습니다.”

그는 “최근 일본의 ‘평화헌법’이 조건에 따라서는 전쟁을 할 수 있는 것으로 개정 움직임이 일고 있다”며 “이 움직임에 일본교회는 반대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유영대 기자 yd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