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무부, 9월 북핵 6자회담 재개 협의 시사 “北이 먼저 의미있는 변화 보여야”

입력 2010-08-20 18:16

미국 국무부가 19일(현지시간) 북핵 6자회담 재개 문제와 관련, 다음달 유엔 총회를 전후해 관련국들과 협의가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정례 브리핑에서 6자회담 재개 문제에 대해 “(북한은) 자신들이 진지한 의도를 증명해야 한다”면서 “진전을 위해서는 그들이 취해야 할 조치들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북한의 도발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행동이 변화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다음 달 유엔 총회를 언급하면서 “많은 파트너 국가들과 직접 협의할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해 향후 6자회담 관련국들 간의 협의가 열릴 것임을 시사했다.

우다웨이 중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의 방북 결과, 북한과 중국이 6자회담 문제 등에 완전히 견해를 같이했다는 보도에 대해 이 같은 반응을 보인 것이다. 이에 따라 6자회담의 가시적인 진전이 이뤄질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망은 상당히 불투명하다. 크롤리 차관보는 무엇보다 6자회담 재개 분위기가 조성되기 위해서는 북한이 도발적 행위를 중단하고, 먼저 의미있는 변화를 보여줘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북·미 대화나 6자회담 재개는 어렵다는 기존의 원칙과 같은 맥락이다.

더욱이 현재 한반도 주변 기류나 남북 및 북·미 관계를 감안할 때 조만간 6자회담 재개 분위기가 만들어질 것 같지는 않다. 우선 이달 안에 미국은 대북 추가 금융제재 방안을 밝힐 예정이다. 이 제재 방안은 북한 지도부를 겨냥한 것으로 북한이 상당히 반발할 가능성이 있다. 또 남한 정부의 강경한 대북 기조도 변함이 없다. 남한의 대북 기조에 보조를 맞춘다는 것이 미국 정부의 기본 방침이기 때문에 미국도 별다른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서해 한·미연합훈련 등 하반기에도 계속 한반도 주변에서 군사훈련이 있을 예정이다. 천안함 사태 이후 처음 열리는 10월의 한·미 국방장관 연례안보협의회(SCM)에서는 대북 경고성 조치들이 나올 가능성도 적지 않다.

하지만 미국이 북한에 억류 중인 아이잘론 말리 곰즈 석방을 위해 국무부 실무팀을 북한에 보냈고, 이를 위한 추가 대화를 가동 중이어서 북·미 간의 대화가 단절된 것은 아니다. 미국은 인도적 차원에서 이 문제에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정치적 의미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6자회담 문제 등 정치적 메시지가 오갈 가능성을 완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