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요란한데, 靑은 ‘…’

입력 2010-08-19 21:21

청와대가 총리·장관·청장 후보자들에 대한 각종 의혹 제기에도 ‘청문회를 지켜보자’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여당 내부에서조차 ‘일부 후보자들은 지키기 힘든 것 아니냐’는 분위기가 있지만, 청와대는 완강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19일 “청문회 과정에서 후보자들의 공식적인 해명을 지켜보자는 기류는 변함없다”고 말했다. 아직은 언론과 야당을 통한 일방적인 의혹 제기라는 인식이다. 당장 일부 후보자의 문제점을 인정할 경우 친정체제로 구축한 후반기 진용이 출발도 하기 전에 삐걱거릴 우려가 크다고 보고 있다. ‘7·28 재·보선 승리→40대 세대교체형 총리 발탁→친서민 행보’ 등의 정국 구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대안에 확신이 서지 않을 경우 교체하지 않는다’는 이명박 대통령 특유의 인사원칙도 한몫을 한다.

이 대통령은 2009년 1월 20일 ‘용산참사’ 이후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의 거취를 결정하는 데 20여일이 걸렸다. 김 내정자의 자진사퇴를 받아들인 이후에도 상당한 아쉬움을 표시한 바 있다. 후보자 본인들도 자진사퇴보다는 ‘적극 해명하겠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황 변화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는 듯하다. 일단 청문회 과정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차명계좌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이 있고, 청문회 이후 정국은 국정감사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국회 다수의석을 차지한 한나라당에 대한 기대감도 엿보인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청문회를 지켜본 다음 국민 여론이 후보자들의 위장전입 문제 등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판단해야 한다”며 “아직은 지켜볼 단계”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