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재산 의혹 청문회에서 밝혀야

입력 2010-08-16 17:48

8·8 개각으로 발탁된 일부 입각 후보자들의 재산 형성 과정을 둘러싸고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주로 망국병으로 일컬어지는 부동산 투기와 관련된 내용들이다 보니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재훈 지식경제부장관 후보자는 부인 명의의 부동산이 투기 의혹을 받고 있다. 이 후보자 부인은 2006년 2월 재개발이 예상되던 서울 창신동의 75㎡짜리 건물을 다른 2명과 함께 공동으로 7억3000만원에 구입했다. 이 후보자 부인은 2007년에도 서울 중계동 오피스텔 내 상가를 1억8000여만원에 사들였고, 남대문 시장 인근 남창동에도 소규모 상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인이 이들 부동산을 매입할 당시 이 후보자는 참여정부에서 산업자원부 무역투자실장, 2차관 등 고위 공직에 있었다. 노무현 대통령 정부가 천정부지로 치솟던 부동산 값을 잡기 위해 동분서주하던 때에 이 후보자 부인은 열심히 부동산을 사들인 것이다.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후보자도 부인이 2006년 12월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의 임야 980㎡를 2억2500만원에 매입했다. 당시 이 지역은 한화그룹이 스키장 등 위락시설을 개발할 것이라는 소문으로 땅값이 크게 오르던 곳이었다고 한다. 신 후보자 측은 개각 발표 20여일 전에 이 땅을 판 것으로 알려져 입각을 앞두고 서둘러 처분한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신 후보자는 5차례나 위장전입을 한 사실도 밝혀졌다.

김태호 총리 후보자는 재산 총액(3억7000여만원)이 크지는 않지만 2006년 말의 신고액(3800여만원)에 비하면 3년 반 사이에 무려 10배로 늘어났다. 당사자들의 해명대로 투기 의도나 불법 행위가 없었다면 단지 부동산을 사고팔거나 재산이 늘어난 것을 갖고 문제 삼을 일은 아니다.

하지만 일반 서민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재산 형성 과정에 대해 제기된 의혹은 명백히 시비가 밝혀져야 한다. 집권 후반기 국정 지향점인 ‘공정한 사회’를 이끌어갈 내각이 이런 의혹을 받고서는 제대로 일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나라당도 인사청문회에서 후보자들을 감싸지 말고 공정한 검증 작업에 적극 동참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