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은 오송메디컬시티 좌초… 연계사업 타격

입력 2010-08-16 21:13

충북도가 세계적 의료산업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며 야심적으로 추진중인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사업’이 무산 위기에 처했다.

6조원대의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인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사업은 지난해 9월 닻을 올렸으나 최근 신임 이시종 지사가 타당성을 검증하겠다고 나서는 등 사업 여건이 악화되면서 사업 제안자인 바이오메디컬시티(BMC)가 손을 떼기로 해 추진 1년 만에 좌초 위기에 몰렸다.

이에 따라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사업과 맞물려 추진 중이던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어려워진 것은 물론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오송 KTX 역세권 개발 등 충북도의 현안 일부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BMC 우종식 사장은 16일 “더 이상 사업을 추진할 수 없게 된 구조가 발생해 충북에서 사업을 포기하게 됐다”며 “사업 추진을 위해선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필수적인데 지정시기가 불투명한데다 현재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사업의 핵심격인 벤처타운을 도가 자체적으로 추진하려 하기 때문에 곤란해졌다”고 밝혔다.

BMC측은 또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시설 중 미국 의료관광객 유치가 목표인 헬스케어타운은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지연되면서 병원설립 일정 등에 차질을 빚었고, 오창 아카데미타운은 부지 소유자인 충북대가 자체 사업으로 추진할 것으로 파악됐다”고 덧붙였다. BMC 측은 오는 18일 국내 투자자들과 최종 논의한 뒤 사업 포기의사를 도에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마이애미대 병원 등 미국내 여러 병원 및 교육기관과 양해각서(MOU) 체결을 마치고 2017년까지 6조5000억원을 투입, 오송 일대를 의료 헬스 교육이 결합한 복합도시로 개발한다는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추진 구상은 불투명해졌다.

한편 충북도는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종합계획 작성과 특수목적법인 설립 단계에서 이 지사의 지시에 따라 지역 교수 등 전문가로 구성된 검증위원회를 구성, 국제병원의 효용성 등에 대한 검증을 벌이고 있어 그 결과에 따라 추진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고세웅 도 투자유치과장은 “외국 병원이 설립되려면 경제자유지역 지정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외국병원 설립을 위한 법률개정이 우선돼야 한다”며 “마이애미대 병원 등과의 MOU체결은 유효하기 때문에 이달 말쯤 검증위의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오면 BMC의 태도와 상관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주=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