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동식물 種 복원 사업] 야생 동식물 증식·보존해 생태계 유지

입력 2010-08-15 17:50

환경부는 2006년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증식·복원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생태계를 고려하지 않은 개발로 서식지가 파괴됐고, 밀렵과 남획으로 많은 종이 사라졌다. 환경부는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 멸종위기인 야생 동·식물 221종을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고, 시급히 복원할 54종을 복원대상으로 선정했다. 포유류 7종, 조류 1종, 파충류 1종, 어류 6종, 곤충류 3종, 식물 36종이다.

지난해 복원사업 예산은 48억여원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생물자원관, 문화재청, 동·식물원 등 서식지 외(外) 보전기관이 나눠 사업을 진행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반달곰, 산양 등을 복원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복원대상 종의 서식실태 조사, 증식기술 개발을 맡았다. 바다사자, 남생이, 장수하늘소 복원을 위한 기초 작업이 주 임무다. 멸종위기종이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황새는 문화재청에서도 인력·예산을 투입한다. 서울대공원, 한택식물원 등 서식지 외 보전기관은 호랑이, 늑대 같이 현실적으로 야생 복원이 어려운 동·식물종의 번식과 보존을 담당한다.

복원사업의 가장 큰 걸림돌은 인간과의 충돌이다. 야생동물을 보양식으로 보는 시선이 남아있고 밀렵꾼도 위협적이다. 깊은 산속까지 뻗친 개발 열풍은 동물의 서식 영역을 좁히고 있다. 턱없이 부족한데다 번번이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예산도 사업을 더디게 한다.

선정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