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장관 후보자 청문회 주요 쟁점… 김태호 ‘박연차 연루’ 핫 이슈

입력 2010-08-14 00:28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와 7개 부처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정치권에 전운이 감돌고 있다. 인사청문 요청서와 관보 내용이 공개된 13일부터 야당 의원들은 후보자들의 재산 급증 문제, 위장전입, 탈세 의혹 등을 속속 제기했다.

릐‘김태호 청문회’ 될 듯=김 총리 후보자는 본인 소유인 경남 창원시 아파트(4억2400만원)와 2억7750만원의 부채 등 3억7349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인사청문 대상자 가운데 가장 적은 재산이지만, 2006년 말 당시 신고액 3800만원에서 10배나 급증한 액수다. 김 후보자 측은 보유하고 있던 부동산 가치가 증가했고, 도지사 재임 시절 받은 연봉을 저축해 빚을 갚았다고 해명했다.

김 후보자의 경우 재산 문제보다는 ‘박연차 게이트’ 연루 의혹이 더 큰 쟁점이 될 전망이다. 그는 2007년 미국 뉴욕의 한 한국식당에서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으로부터 수만 달러를 받았다는 혐의로 지난해 6월 검찰에 소환돼 조사를 받았다. 당시 검찰은 무혐의 처분하고 내사 종결했지만, 민주당은 검찰이 진실 규명의 핵심 고리인 증인을 조사하지 않았다며 이번에 집중적으로 파헤칠 방침이다. 민주당은 또 경남지사 시절 창원시에 있는 S사의 비자금 조성 등에 김 후보자가 관련됐다는 제보를 받고 진상조사 중이다. 이 밖에 도지사 시절 업무 추진 능력과 노동조합, 대북관계 등에 대한 과거 발언 등도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릐후보들 줄줄이 위장전입 의혹=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위장전입을 5번이나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창조한국당 이용경 의원은 “신 후보자가 1995년 경기도 고양 일산 ‘밤가시마을’로 이사한 뒤 세 딸이 상급학교에 진학할 때마다 좋은 학군으로 매번 위장전입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신 후보자가 주상복합 아파트를 팔면서 실제 매도 시기보다 8개월 늦게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하는 방법으로 세금을 1억원 이상 탈세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문화부는 해명자료를 내고 “신 후보자가 딸들의 초등학교 적응문제로 주민등록을 옮긴 사실이 있으며 이는 적절치 못했음을 인정하고 사과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신 후보자 탈세 의혹에 대해 문화부는 “양도소득세도 법에 따라 6500만원을 납부했다”고 말했다.

이현동 국세청장, 조현오 경찰청장 후보자도 위장전입 문제가 불거졌다. 이 후보자의 부인과 딸은 2000년 11월 거주하던 서울 방배동 한 아파트에서 인근 다른 아파트로 이 후보자와 주소지를 분리해 전입 신고했다. 6개월 뒤 이 후보자 가족은 다시 같은 주소로 주민등록을 옮겼다. 조 후보자도 가족들이 1998년 11월 서울 사직동으로 주소지를 옮겼다가 석 달 뒤인 99년 2월 홍제동으로 다시 이전했다. 두 후보자 모두 자녀의 고교 진학 문제로 주소지를 옮겼다며 청문회를 통해 해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