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파업 1년… 평택 ‘고용촉진지역’ 졸업

입력 2010-08-13 18:08

쌍용차 파업 사태 여파로 극심한 경기 침체에 빠졌던 경기도 평택지역이 1년 만에 고용개발촉진지역에서 해제됐다.

고용노동부는 13일 열린 고용정책심의회에서 평택시의 지정 기한 연장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정했다. 노동부 관계자는 “평택시의 지난달 말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지난해 7월보다 8.8% 증가하는 등 전반적인 고용사정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부는 쌍용차 파업 사태 직후인 지난해 8월부터 1년 동안 평택시를 사상 첫 고용개발촉진지역으로 지정해 1017억원을 투입하는 등 지역 고용을 늘리기 위한 지원사업을 벌였다.

노동부가 평택시 고용개발촉진지역 지정 성과를 분석한 결과 지난 7월 말 기준으로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지난해 7월보다 7425명 늘어 증가율 8.8%를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평균 3.3%, 경기도 평균 4.8%보다 높은 수치다.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 수도 지난해 7월에는 2150명까지 늘었지만 지난 4월 이후에는 월평균 600명 이하 수준으로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다. 지난달 지역 사업체가 노동부 워크넷을 통해 구인의사를 밝힌 인원은 3607명으로 지난해 7월보다 259%(2604명) 늘었다.

노동부는 “고용개발촉진지역 지정이 평택지역 고용여건 개선에 상당히 기여했다”고 평가하면서 “앞으로 이 지역 실직자를 위한 일자리 대책을 평택시와 적극적으로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5월 법정관리 중이던 쌍용차가 경영정상화 방안에 따라 직원 37%를 정리해고키로 하자 노조는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고 점거농성을 벌였다. 노조는 77일 동안 공장을 점거한 끝에 경찰 진압으로 농성을 끝마쳤다.

이 기간 동안 조업이 중단돼 평택지역의 고용이 악화됐고 노조원 2212명, 협력사 직원 1425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해고노조원 중 1193명, 실직 협력사 직원 중 998명은 아직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